[시사뉴스 임준혁 기자] 지난 10년간 중소기업의 국내시장 의존도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4일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확대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지난 10년간 중소기업 제품의 국내판매 비중이 지난 2003년 81.8%에서 2012년 86.0%로 4.2%포인트 높아진 반면, 해외수출 비중은 18.2%에서 14.0%로 줄었다고 밝혔다.
국내총생산량(GDP)대비 민간소비 비중이 2003년 55.7%에서 2013년 50.6%로 낮아지는 등 내수불황 심화 속에서도 내수의존도는 오히려 높아진 셈이다.
실제로 보고서에 따르면 2003년부터 10년간 중소기업 제품의 총 판매액은 약 2.2배 증가했으며 국내판매는 2.3배, 해외수출은 1.7배 증가했다.
대한상의는 보고서를 통해 "중소기업이 국내시장에 크게 의존하는 구조에서는 저출산 기조와 해외직구 증가, 대기업의 글로벌 아웃소싱 확대 등으로 성장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내수시장에서 해외시장으로 관심의 폭을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주로 생산하는 중간부품의 국산화율은 지난 2005년 78.2%에서 2010년 74.7%로 하락하고 있는 반면, 해외 현지생산기업 비중은 6.7%에서 16.7%로 증가했다. 국내 소비자들의 온라인을 통한 해외 직접구매 역시 지난 2011년 560만건에서 지난해 1100만건으로 2년 새 두 배 가까이 확대됐다.
대한상의는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개척 방안으로 '마케팅 코디네이터 사업'을 제안했다. 마케팅 코디네이터 사업은 외부 전문가가 제품의 기획 단계부터 생산, 국내판매 또는 해외시장개척에 이르는 전 과정에 관여하는 것. 중소기업의 내수의존도 심화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제품기획 단계부터 해외시장을 염두에 두고 '팔릴 제품을 만들자'는 취지다.
또 대한상의는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방안으로 정부 차원의 수출인큐베이터 지원확대와 기업 차원의 연구개발(R&D)역량 강화를 제안했다.
수출인큐베이터란 정부가 해외에 진출하려는 중소기업에게 설립 초기 위험부담을 줄이고 현지에 조기 정착할 수 있도록 사무공간을 제공하고 회계·법률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현재 수출인큐베이터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베트남 등 11개국, 17개소에 설치돼 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중소기업의 판로개척은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며 "내수시장에만 크게 의존하는 판로구조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성장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해외시장 개척 등 다양한 판로 확보노력과 함께 품질과 디자인, 기술 등 근원적 경쟁력을 키워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