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27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베이징에서 한·중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번 방중은 지난 2월 대통령 취임 이후 5월 초 미국 방문에 이어 두번째 해외 순방이다.
김행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열어“박 대통령이 시 주석의 초청으로 6월27일부터 30일까지 (나흘간)중국을 국빈 방문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번 박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수교 이후 지난 20년 간 이룩한 양국 관계의 비약적인 발전을 토대로 향후 20년 한·중 관계의 새로운 미래 비전을 설계해야 하는 시점에서 이뤄지는 것”이라며 “올해 초 동시에 취임한 양국 지도자간 신뢰를 더욱 돈독히 하고 양국관계의 새로운 도약대를 마련하는 역사적인 여정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국빈 자격으로 중국을 방문하는 박 대통령은 첫날인 27일 베이징에서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 뒤 국빈만찬을 가질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양국 정상은 ▲한·중 관계에 대한 평가 및 미래비전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 및 동북아 지역의 안정과 번영을 위한 양국 간 긴밀한 협조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의 양국간 교류협력 ▲지역 및 국제무대에서의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한다.
김 대변인은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한·중 관계의 미래비전을 담은 ‘공동성명’도 채택한다. 이는 신뢰를 기반으로 한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내실 있게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새로운 이정표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둘째날인 28일에는 베이징에서 올해 3월 새로 취임한 중국의 새 지도부 인사들과 연쇄 회동을 갖고 한·중 관계 발전방안과 양국 간 주요 현안 및 상호 관심사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남은 기간 동안에는 수행경제인 조찬간담회, 대학연설, 우리 진출기업에 대한 시찰, 한·중경제인 오찬, 재중한국인 간담회 등의 일정도 소화할 예정이다.
김 대변인은 “양국이 한반도의 비핵화와 이 지역의 평화와 안정 유지라는 공동의 목표 하에 새 정부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구상’ 추진에 있어 양국 간 이해와 협력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경제 분야에서는 미래 상생발전이라는 목표 하에 한·중FTA를 포함한 상호 교역투자 확대 방안, ICT(정보통신기술) 등 과학기술과 환경·금융·에너지 분야 등에서의 협력 증진방안을 논의하고 MOU를 채택 하는 등 풍성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