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대해 나에게 책임이 있지 내각이나 청와대는 책임이 없다고 밝혔다.
1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결정 관련 특별기자회견을 통해서 “대통령 한사람 편하자고 국민에게 불편과 부담을 주고 다음 세대까지 부담을 주는 이런 사업을 책임있는 대통령으로서는 할 수 없다”면서 “나라 살림을 책임진 대통령으로서 경제적 타당성이 결여될 경우 국가와 지역의 부담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후보 때 국민에게 공약한 것을 지키는 것이 도리이고 매우 중요한 것이 사실”이라며 “때로는 이를 지키는 것이 국익에 반하면 계획을 변경하는 결단을 내릴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결과적으로 동남권 신공항 공약을 지킬 수 없게 된 것에 대해 개인적으로 매우 안타깝고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사실상 사과형식의 말을 언급했고, 특히 “영남지역 주민들에게도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신공항에 대한 강력한 지역주민들의 요구는 지역경제를 살리고 지역발전을 이뤄보고자 하는 열망에서 비롯됐음을 잘안다”며 “신공항은 여건상 짓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해당지역 발전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의지는 변함 없이 지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최종 종합적 판단을 보고받고 내가 결단했기 때문에 이로 인한 내각이나 청와대의 문책성 인사는 없을 것”이라면서 여권 내부에서 나오고 있는 민심수습 차원 문책성 인사에 대해 “최종 판단을 보고받고 내가 결단했기 때문에 이로 인한 내각이나 청와대의 문책성 인사는 없다”고 단정지었다.
여권 일각의 탈당 요구에 대해서는 “힘을 합쳐 지역발전에 매진하는 것이 좋다”고 거부의사를 밝히면서 “필요하면 개편인사를 할 수도 있지만 인사가 너무 잦으면 글로벌 시대에 경쟁력을 상당히 떨어뜨리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국민과의 약속을 어겨 유감’이라고 말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발언에 대해서는 “그렇게 말할 수 있다”며 “박 전 대표와 관계를 그렇게 볼 필요가 없고, 선의로 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선정에 대해 “국가미래를 위해 해야 하는 사업이다. 우리처럼 자원이 없는 국가가 유일하게 살아갈 수 있는 길은 과학기술 선진화”라며 “총리실에서 위원회를 구성해 논의하면 상반기중에는 국민께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교과서 왜곡에 대해서는 “천지개벽이 두 번 돼도 독도는 우리 땅”이라며 “대통령으로서 말을 아끼고 있을 뿐이지, 심정은 국민이 생각하는 것과 똑같다”고 말했다.
국방개혁과 관련해서는 “언론에 보면 문제가 있는 것처럼 보도되지만 김관진 국방장관을 중심으로 연내에 성공적으로 완성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현역장성, 군, 예비역 장성이나 일반 국민들도 국방개혁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아무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남북정상회담에 대해서는 “내년이 임기말이니까 올해 해야 하지 않느냐고 하는데, 저는 정치적 계산을 하지 않는다. 정치적 이유로 서둘러야겠다는 차원은 아니다”면서 “북한은 저질러놓은 일에 대해 사과표시를 해야 한다. 천안함과 연평도에 대해 진지한 마음으로, 진정한 자세로 대답을 해야 한다”고 북에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융통성 없이 하는 것은 아니다. 막무가내로 안하겠다는 자세는 아니다”라며 “우리는 응할 방법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대응하고 있다”고 부연 설명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