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

크래피티아트 선구자 ‘크래시’, 섬광 번뜩이는 신작 선보여

URL복사

인사동 관훈갤러리, 크래시 개인전, 11월 15일까지
바스키아와 키스 해링의 친구, 스트리트 아트의 선구자
팝 아트 영감받은 에너지 넘친 작품 선보여

 

시대가 바뀌면서 예술의 가치도 바뀐다. 길거리 담벼락에 휘갈기던 낙서화는 이제 시대의 총아가 되었다. 거리의 예술, 스트리트 아트(Street Art)로 불리는 그래피티(Graffiti)는 세계적 미술품 경매에서 최고가를 찍는 주요 장르가 됐다. 2016년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바스키아의 ‘검은 피카소’가 668억원에 팔렸다. ‘거리의 예술가’ 뱅크시는 미켈란젤로를 제치고 영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예술가 1위에 오른 인물이다. 그림값도 천정부지다.

 

서울 인사동 관훈갤러리가 11월 15일까지 마련한 ‘크래시 개인전’은 미셀 바스키아(1960-1988), 키스 해링(1958-1990)과 의기투합했던 거리예술의 ‘살아있는 전설’ 존 마토스 크래시(61)의 최신작을 내걸었다.  바스키아, 키스 해링은 이미 고인이 됐지만, 그들과 함께 거리예술의 새 지평을 열었던 그래피티의 선구자 '크래시'가 어떤 신작을 내놓았는지 한눈에 볼 수 있는 자리이다.

 

 

크래시가 바스키아, 해링과 함께 겁없이 뉴욕 지하철역을 스프레이 낙서를 하며 누볐던 때는 1970년대이다. 당시 미국 사회는 수많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사건들로 가득한 역동적인 시대였다. 특히 크래시가 태어나고 자란 뉴욕의 사우스 브롱스 지역은 중산층과 노동자계급의 주거지역으로 그 혼란을 정면으로 마주하고 있었다.

 

13세의 나이에 또래들과 함께 시대와 사회의 반항아가 되어 뉴욕 지하철과 지하철역에 낙서를 휘갈기로 도망을 치는 것이 당시 '그래피티' 선구자들의 생활이었다.  그림그리기를 좋아했던 뉴욕 브롱스 태생 크래시는 13세때 처음으로 스프레이 페인팅을 하기 시작했다.  뉴욕 지하철역에 낙서를 휘갈기고 줄행랑을 치곤했던 그도 당시에는 그 행위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도 몰랐다.


크래시는 친구들과 어울려 기차, 순환하는 지하철 등에 스프레이로 그림을 그리고, 그래피티 태깅(tagging:스프레이나 마커로 자신의 사인을 하는 행위)을 하곤 했다. ‘CRASH’란 이름은 그가 실수로 학교에서 컴퓨터를 떨어뜨린 후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후 ‘크래시’라는 이름의 그래피티는 뉴욕시 곳곳에서 등장하게 된다.

 

 

크래피티는 70년대 중반 태깅 이상으로 변화하기 시작해 70년대 말에는 일러스트레이션, 풍경, 만화캐릭터 등 새롭고 다양한 작품 스타일로 발전했다. 그래피티가 뉴욕의 워싱턴 하이츠와 브롱스를 주축으로 퍼지게 되면서 예술로서 인정받기 시작했다. 

 

크래시의 크래피티도 진화했다. 그 역시 이미 뉴욕 도시 전역에 걸쳐 그만의 대담하고 거친 시그니쳐 그래피티를 선보인다는 평을 받기 시작했다. 키스 해링 등 당대의 여러 아티스트들과 함께 콜라보레이션 작업을 진행했다.

 

 

1980년대 초반, 크래시의 커리어에 중요한 터닝포인트가 찾아온다. 1980년 사우스 브롱스에 위치한 대안예술공간인 ‘Fashion MODA’ 박물관이 기념비적인 전시가 된 <Graffiti Art Success for America>전을 기획하게 되는데, 당시 19세의 크래시가 본 전시에 참여한 것이다. 본 전시는 그래피티 작가들에게 갤러리의 외벽에 직접 그림을 그리도록 허락된 최초의 전시 중 하나였다.

 

이를 계기로 크래시는 스트리트 아티스트와 순수미술 세계를 연결짓는 그래피티아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연 선구자로 우뚝서게 된다. 

 

크래시의 작품은 벽화와 실크 스크린 프린트화의 형식에 앤디 워홀(Andy Warhol)과 로이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같은 팝 아트 등에서 영감을 받아 에너지 넘치고 다채로운 색감에 대중문화 등을 차용한 디자인으로 유명하다. 

 

 

이번 전시에서도 스프레이 페인트를 붓처럼 뿌려 현란한 색채감을 얹어낸 ‘Melancholy Drama’(2022), ‘Behind the Remote’(2022) 등은 번뜩이는 눈이 뿜어내는 듯 번쩍이는 섬광을 표현해 눈길을 끈다.  평단으로부터 “거리의 삶과 안정된 사회 간에 시각적인 연결고리를 제공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작품은 미국 브루클린 박물관, 보카 레이튼 미술관, 뉴올리언스 미술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스테델릭 박물관에 영구 소장되어 있다. 그는 Absolut Vodka, Fender Guitars, SoBella Handbags, Levi’s,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Tumi 캐리어 및 Morphik, Supreme과 기업들과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국제적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