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국제

「無責任な日本の政治、旧統一教会に責任を負わせる」…安倍元首相殺害の真実とは? ③

URL복사

「旧統一教会は非難の受け皿…警護責任を逃れようとする陰謀」

暗殺犯'山上哲也'…1ヶ月前から準備された緻密な犯行計画

某マスコミが'特定宗教の関連説を流布'…日本で消えた別の主張など

目的を果たした犯人、"旧統一教会と安倍勢力の同時攻撃を…勝者は? "

 

 

5. 中島 正純氏「奈良県警の大失態...最悪の警備」

 

犯行が発生した7月8日、安倍元首相の本来の日程は長野県の訪問だったが、前日奈良県に急遽演説場所を変更した。

 

安倍元首相の日程を追跡していた犯人の山上は、7日に岡山を訪れたが、警護上の理由で犯行をあきらめる。 それでは奈良県の警護態勢はどうだったのだろうか。

 

元大阪警察出身で衆議院議員も務めた中島正純氏は、日本のTBSに出演し、「大阪や東京だったらあり得ないことだ」と話す。 「岡山で犯行をあきらめた犯人が奈良県では決行したとすれば最悪の警護だったと思う」と明らかにする。

 

当時、映像で様子を伝えた数多くのネチズンたちも最初に「安倍氏の自作自演」を提起した理由だ。 放送された映像の中の山上は平穏に安倍元首相の演説に耳を傾ける。 一瞬、安倍元首相の後ろに近づき、手製の銃を取り出したにもかかわらず、警備員の反応はない。

 

一発の銃声が鳴り響き安倍元首相が戸惑う時でさえも、彼を取り囲んだり保護する動きは全くない。 犯人だけが落ち着いた状況で2度目の銃声が鳴り、安倍元首相は倒れる。

 

日本のマスコミは、山上が安倍元首相の後方約7メートル地点で、射撃銃を1回発射した後、更に約5メートルまで接近して2回目を発射したと明らかにした。 銃撃当時、現場映像に映し出された警察と警備員などの姿は、最初の銃声が鳴った後、3秒間ためらう姿だけだった。

 

 

6. 嫌韓に進化する「旧統一教会いじめ」

 

安倍元首相襲撃後、日本のTBSは旧統一教会に対する特集を放送した。 主な内容は旧統一教会の献金について、である。

その中で、韓国に送金された内訳に関して番組は注目する。旧統一教会の会計資料を根拠に、日本の統一教会が▲1999年から2008年の間に毎年約600億円(約6,000億ウォン)の献金を集めたということ▲また2009年に230億円、2010年に255億円、2011年に295億円が韓国本部に送金されたと報じた。

「韓国の宗教が日本で信徒たちから金を集め、韓国に莫大な資金を送っている」という内容が放映された後、日本の右翼らの嫌韓感情に便乗した「統一教会信徒に対する差別」と韓国に対する非難が続いている。

 

1968年の国際勝共連合の結成を契機に「反共産主義の連帯」を構成した日本の右翼政治家たちが、嫌韓を基盤に旧統一教会と韓国を一括りとし非難しているのだ。 8月21日、毎日新聞の電話世論調査で支持率36%を記録した、現「岸田文雄内閣」の今後の日韓関係の前途多難が予想される理由だ。

 

 

7. 沈んだ真実…日本の政治は再び嫌韓に舵を切るか?

 

23日付の読売新聞は、「日本政府が現在開発中の地対艦弾道ミサイルの射程を現在の100キロから1,000キロに増やし、1,000発を保有することを検討している」と報じた。 いつでも韓国と北朝鮮、中国などに日本のミサイルが到達できるということだ。 安倍元首相の銃撃で自民党は選挙で圧勝し、いつでも憲法改正を通じて「戦争できる国」になりうる。

 

▲ロシアvsウクライナ▲米・中の葛藤が深まる新冷戦体制で、日本の再武装は十分に予想される状況。 安倍元首相の逝去に対する政治的な意味は、思ったより単純ではない。

 

日本メディアとネット右翼の「旧統一教会いじめ」が宗教の葛藤を越えて嫌韓に発展する現象を軽視できない理由だ。 犯人である山上の犯行に関する真実がまだ明らかになる前であるにもかかわらず、「旧統一教会の献金に対する個人的な恨み」を報道したマスコミの記事一行で「すべての真実が罵倒」されるならば、「安倍銃撃」の波紋は誰もが想像しにくい状況に発展することもありうる。

 

今、私たちに「冷静な真実」が必要な理由である。

 

「無責任な日本の政治、旧統一教会に責任を負わせる」…安倍元首相殺害の真実とは?  ①
「無責任な日本の政治、旧統一教会に責任を負わせる」…安倍元首相殺害の真実とは?  ②

「無責任な日本の政治、旧統一教会に責任を負わせる」…安倍元首相殺害の真実とは?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민주당 '검찰개혁 4법' 공청회 통해 입법 논의에 시동 걸어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여당이 '검찰개혁 4법' 공청회를 열면서 검찰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28일 '검찰개혁 4법' 공청회를 열고 관련 입법 논의에 시동을 건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제1소위원회를 열고 검찰개혁 4법(공소청설치법·중대범죄수사청설치법·국가수사위원회설치법·검찰청 폐지법)에 대한 2차 공청회를 진행한다. 이 법안은 검사의 직무를 기소·공소 유지로 한정하고, 대검찰청·지방검찰청을 폐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수사 권한은 중수청·경찰 등으로 이관하고, 수사기관을 총괄·감독할 국가수사위원회는 국무총리 산하에 별도로 설치하도록 했다. 당 차원의 검찰개혁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최근 민주당은 쌍방울 대북 송금 사건, 대장동 사건 등 이재명 대통령과 민주당 관련 사건을 다루는 정치검찰 조작기소대응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킨 바 있다. 또 검찰개혁TF를 비공개로 운영하며 당 차원의 단일안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지난 25일 기자들과 만나 "검찰개혁은 지금까지 TF에서 순조롭게 논의하고 있다. 조만간 1차안(案)이 나오면 (원내지도부가) 보고받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차기 당권주자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