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이상(2018년 대비)감축“...종전 목표보다 14% 상향
26차 유엔기후변화당사국총회 기조 연설서 제시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일(이하 현지시각)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6)에서 2030년까지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40% 이상 감축하겠다고 국제사회에 공식 선언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영국 글래스고의 스코티쉬이벤트센터(SEC)에서 열린 COP26 정상회의 기조연설에서 "한국은 2030 NDC를 상향하여 2018년 대비 40% 이상 온실가스를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종전 목표보다 14%가량 상향한 과감한 목표이며, 짧은 기간 가파르게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하는 매우 도전적인 과제"라며 "쉽지 않은 일이지만, 한국 국민들은 바로 지금 행동할 때라고 결정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정상들 가운데 16번째로 기조연설에 나섰다. 앞서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가 첫 기조연설을 시작했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3번째로 기조연설 했다.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을 '40% 이상' 감축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공언은 앞서 탄소중립위원회에서 결정한 '40% 감축' 목표량보다 더 높은 수준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70배 높은 메탄의 배출 감축을 결의하는 바이든 정부 주도의 '국제메탄서약 가입'에 따른 30% 메탄 감축 목표를 반영, 온실가스 감축량 증가를 고려한 표현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2050 탄소중립을 법제화하고,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2030년까지, 30%의 메탄 감축 방안도 담겼다"며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매우 높아 기후위기 해결의 중요한 열쇠다. 한국은 '국제메탄서약'에 가입해 메탄 감축 노력에 적극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나무를 키우고 산림을 되살리는 일은 기후위기 대응의 중요한 해결책이다. 사막화를 막고, 접경 지역의 평화를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이기도 하다"면서 "산림 및 토지 이용에 관한 글래스고 정상선언을 환영하며 개도국의 산림 회복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남북한 산림 협력을 통해 한반도 전체의 온실가스를 감축해나갈 것"이라며 "내년 5월 한국에서 개최되는 ‘세계산림총회’의 성공을 위해 국제사회의 지지와 협력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세계 석탄 감축 노력에 동참하겠다. 우리 정부는 출범 이후 석탄발전소 여덟 기를 조기 폐쇄했고, 올해 말까지 추가로 두 기를 폐쇄할 예정"이라며 "2050년까지 모든 석탄 발전을 폐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 차원의 탄소중립 목표 실천을 위한 약속에 더해 미래세대와 기후위기 대응 해법을 함께 모색할 것을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제가 드릴 한 가지 제안은 '청년 기후 서밋'의 정례적인 개최"라며 "기후위기의 당사자인 미래세대와 기성세대가 함께 기후위기의 해법을 찾는다면 지속가능한 세계를 향한 인류의 발걸음도 한층 빨라질 것"이라고 했다.
한편 COP은 기후 문제를 논의하는 국제사회 최대·최고 의사결정 기구다.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채택한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마련됐다. 교토의정서(1997년), 파리협약(2015년) 등 기후 대응과 관련한 국제사회 약속은 COP을 통해 나왔다.
이번 총회는 2015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COP21 이후 6년 만에 정상회의로 개최됐다. 파리협약으로 유명한 당시 총회에서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C 이내로 억제, 나아가 1.5°C 이하로 제한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 한다"는 국제사회의 합의를 도출해 냈다.
6년 만에 정상들이 모인 이번 총회에서는 파리협약 정신의 구체적인 실천 목표를 각국 정상들로부터 확인하는 자리라 할 수 있다. COP26은 당초 지난해 예정됐었다가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1년 연기됐다.
이번 회의에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197개 국가 중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등 100개국이 넘는 국가의 정상들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공식 선언한 상향된 2030 NDC 감축 목표를 다음 달 유엔에 공식 제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