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차적 정당성 확보하기 위한 것...유권해석 변경 가능성 희박
이 전 대표 퇴로 열어주기 위한 고육지책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결과에 문제를 제기해온 이낙연 전 대표는 13일 경선 결과와 관련해 메시지를 낼 예정이다.
경선 이후 침묵을 지켜온 이 전 대표는 이날 오후 당무위가 경선 무효표 산출 방식과 관련해 유권해석을 실시한 뒤 경선 결과에 관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는 당무위의 무효표 재해석에 관한 유권해석 결과를 받아들인다는, 사실상 경선 승복 메시지를 낼 가능성이 높다.
이 전 대표 측 핵심 관계자는 "당무위를 소집해 유권해석해달라고 요구한 게 아니냐"며 "거기에서 결정했으면 따라야 한다. 거기에서 결정했는데 우리가 뭐라고 또 이의를 제기하겠느냐. 결과에 순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당무위는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일 뿐 결과가 바뀔 가능성은 희박하다.
송영길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이재명 경기지사를 대통령 후보로 공인했고, 이 전 대표 측에 승복을 공개적으로 요구해왔다.
결과 번복 가능성이 없는 상황에서 지도부가 당무위를 개최한 것 역시 이 전 대표에게 퇴로를 열어주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고용진 수석대변인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당 선관위가 내린 해석이 유효한지 당무위가 의결을 통해 결정할 것"이라며 "당무위에서 의견을 개진하고 그것에 따른 결정이 내려지면 당연히 절차에 따라 나온 결과를 따르지 않겠느냐"고 했다.
이 전 대표 측 관계자는 "당무위 결과가 나오게 되면 마무리될 수 있을 것"이라며 "(메시지를 낼) 그럴 시점이 된 것 같다. 당무위를 전후해 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 전 대표 측은 당 선관위의 무효표 해석에 반발해 이의 신청서를 접수했다. 중도 사퇴한 정세균·김두관 후보의 득표를 무효표로 처리하지 않았다면 이 지사의 누적 득표율이 49.3%로 결선에 가야 한다는 게 이 전 대표 측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