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중급유수송기 KC-330 2대, 현지로 출발
국방부 "매우 엄중한 상황…전원 복귀 결정"
파견 인원 전원, PCR 음성…백신 접종 완료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국방부는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한 청해부대 34진(문무대왕함·4400t급) 전원을 이송할 공중급유수송기(KC-330) 2대를 급파했다. 올해 초 아프리카 아덴만 해역에 파병된 청해부대에서는 최근 코로나19가 확산해 현재까지 총 68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18일 국방부는 청해부대 34진 전원을 안전하게 복귀시킬 '오아시스 작전'을 시행하기 위해 오후 4시 KC-330 2대를 현지로 보냈다고 밝혔다.
청해부대 승조원 3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유전자증폭(PCR) 검사 결과 이날 오전 8시 기준 누적 코로나19 확진자는 68명으로, 61명이 추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15일 오전 최초 확진자 발생 사실이 알려진 이후 사흘 만에 확진자가 대폭 늘어난 것이다.
아직 101명의 PCR 결과만 나온 상황인 만큼, 나머지 200명의 결과가 확정되면 확진자는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방부는 "매우 엄중한 상황으로 인식해 현재 임무수행 중인 청해부대 전원을 복귀시키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수송기에는 기내 산소통 등 의료 물자가 구비돼있다. 의료진은 현지 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인 15명 등 환자들을 철저히 관리할 방침이다.
이번 복귀 작전에는 함정 교체병력 148명과 방역·의료인력 13명 등 약 200명 규모의 특수임무단이 현지 투입된다. 특수임무단장은 국방부 국제정책차장 이경구 준장이 맡는다.
해군 파견 병력 148명은 대부분 문무대왕함과 동형 함정에 근무 경험이 있는 장교 및 부사관으로 구성됐으며 병사는 없다. 이들 대부분은 청해부대 파견 전력이 있다.
국방부는 "문무대왕함에 교체 투입되는 해군 장병들은 대부분 파병 경험을 갖춘 인원들로, 전원이 국내에서 백신접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특수임무단 전원은 PCR 검사에서 음성 판정 사실을 확인했다.
반면 청해부대의 경우 군이 의료시설을 중심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한 2월말 전인 2월8일 출항해 백신을 접종받지 못했다.
특수임무단은 방역당국 지침에 따라 소독 작업을 거쳐 문무대왕함을 운항해 국내로 옮길 계획이다. 파견부대는 문무대왕함이 있는 현지 상황을 고려해 장티푸스·파상풍·A형 간염 등 기본적인 예방접종 백신도 함께 준비했다.
국방부는 원활한 인수·인계를 위한 사전 작업도 끝냈다고 밝혔다. 현지에서 청해부대 34진 장병들은 모든 장비를 대상으로 장비작동 특성, 정비계획 등 함 정비에 관한 정보가 담긴 기록인 '테크노트'를 작성했다. 이는 파견부대 정비 요원들이 받아 활용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방역 당국과 협조하에 청해부대원의 국내 도착에 대비해 전담의료기관 및 생활치료센터, 군 내 격리시설을 확보 중"이라며 "확진자 현황이 나오는 대로 계획을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은 장병들의 긴급 복귀를 위해 기내용 산소통을 지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