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인민생활 개선, 美대북정책 대응 방향 중점"
"절제, 유연 메시지…김정은, 직접 대화 준비 언급"
"대남, 대미 후속조치 예의주시…적극, 능동 대처"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통일부는 북한이 최근 진행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8기 3차 전원회의에서 김정은 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직접 대화 준비'를 언급한 것에 주목하면서 인도적 협력, 대화 재개를 위해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19일 북한 당 중앙위 전원회의에 대해 "비상방역 장기화 속에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경제와 인민생활에 대한 개선대책,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윤곽이 드러난 미국의 대북정책 대응 방향 마련에 중점을 뒀다"고 평가했다.
이어 "하반기 대내 정책 주안점으로 식량 문제 해결, 코로나19 상황 장기화에 따른 대책, 인민 생활 안정, 육아정책 개선 등 민생 현안 해결을 강도 높게 주문해 민심을 관리하고 당과 내각의 적극적인 인민생활 개선 노력을 독려했다"고 봤다.
또 "대외 정책에서는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를 강조하면서 이전보다는 절제되고 유연한 메시지를 발신했다"며 "특히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대화에도 준비돼 있어야 한다고 언급한 점에 주목한다"고 했다.
아울러 "이번 당 전원회의를 통해 하반기 대내, 대외 정책 방향이 제시된 만큼, 민생·대외 등 분야에서 전원회의 결정 이행을 위한 북한 당국의 추가적 조치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북한의 대남, 대미 후속 조치를 예의주시하면서 한반도 안정과 평화, 남북 간 인도주의적 협력, 남북·북미 대화 재개를 위해 적극적,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북한은 15~18일 당 중앙위 3차 전원회의를 열고 상반기 정책, 대외 정세 등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회의에서 김 위원장은 식량난 등을 당면한 애로로 언급하기도 했다.
대외 정세와 관련해서는 미국의 대북정책 관련 검토가 이뤄졌다. 이와 관련, 김 위원장은 "대화에도 대결에도 다 준비돼 있어야 하며, 특히 대결에는 더욱 빈틈없이 준비돼 있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