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이연숙 기자] 광주시는 최근 확진자 중 선별진료소 검사를 받은 뒤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개인생활을 하거나 감기로 판단하고 뒤늦게 검사를 받는 등의 사례가 잇따라 주의를 당부했다.
광주시 보건당국은 5일 온라인 브리핑을 통해 "검사를 늦게 받거나 선별진료소 검사 뒤 개인생활을 하는 확진자가 잇따라 나오고 있어 역학조사 업무가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보건당국이 공개한 확진자 중 60대 남성 A씨는 요양병원 입원을 앞두고 코로나19 검사를 받았다.
A씨는 양·음성 판정이 나오기 전까지 격리를 해야 함에도 개인적인 업무를 본 뒤 이 병원 1인실에 입원했다.
이틀여 정도의 시간이 지난 뒤 확진판정이 나오자 A씨는 격리치료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하지만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A씨는 요양병원 의료진과 종사자 등과 접촉해 자가격리 통보를 받았다. 이 병원 입원 환자들은 퇴원조치 되거나 1인실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추가 확진자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70대 남성 B씨는 확진 판정을 받기 2주전부터 유증상이 있었지만 '여름감기'로 생각하고 코로나19 검사를 받지 않아 다수의 감염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B씨는 기침과 발열 등의 증상이 있었지만 '여름감기'로 생각했다.
B씨는 지인들과 식사 모임에 참석하는 등 증상이 있었던 2주동안 전남 여수와 화순, 담양 등지를 다녔으며 카페·마트 등을 잇따라 방문했다.
결국 감기가 호전되지 않아 코로나19 검사를 받았으며 양성 판정을 받고 격리치료시설로 옮겨졌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발열·설사·기침 등 증상이 있을 경우 각 지역 보건소가 운영하는 선별진료소를 방문하면 무료 검사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검사를 받은 뒤에는 확진 판정이 나올 것을 가정해 두고 결과가 나올때 까지 자가격리를 의무적으로 해야 한다"며 "이를 위반하면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근 무증상 확진자 증가로 인해 역학조사 기간과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며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오후 2시 기준 광주는 서울아산병원 관련 2명과 기원 방문을 통한 확진자 1명 등 총 3명이 추가돼 누적 확진자는 416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