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원순 성추행의혹 해명보다 대책마련에 더 치중
임순영 젠더특보 사태 잘 아는 정무라인서는 한명도 기자회견장 안 와
젠더특보 뜻, 서울시 정책서 성평등 구현시키기 위해 임명된 특별보좌관
[시사뉴스 홍정원 기자] 고(故) 박원순 전 시장 성추행의혹과 관련, 서울시가 15일 오전 입장발표를 했으나 논란만 더 가중되고 있는 모양새다.
황인식 서울시 대변인은 이날 오전 11시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직원 인권침해 진상규명에 대한 서울시 입장'을 통해 "조사단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은 충분한 조사 경험과 지식, 경력을 갖고 있다"며 "민관합동조사단을 통해 충분히 조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황 대변인은 임순영 서울시 젠더특보가 박원순 시장 성추행 피소 사실을 미리 알고 있었다는 보도에 대해선 "그 부분은 젠더특보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서울시는 이날 박원순 시장 성추행의혹에 대해 여성단체, 인권전문가, 법률전문가 등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철저하게 진상을 규명하고 피해 호소 직원(박원순 고소인)에 대한 2차 가해 차단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젠더(Gender)의 사전적 뜻은 생물학적 의미를 가진 성(sex)과 달리 사회학적 의미의 성을 말한다. 젠더 뜻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남녀 정체성, 특히 사회문화적으로 길들여진 성이다.
서울시 젠더특보 뜻은 서울시 정책에서 성평등을 구현시키기 위해 임명된 특별보좌관이다. 하지만 이번 박원순 시장과 관련해 고소 정보 유출 건은 성평등 구현이라는 젠더특보의 목적에 맞지 않는다.
다음은 황인식 대변인의 기자회견 입장문 일문일답이다.
- 서울시는 고소 사실을 방송 보도 이후에 알았다고 했는데 젠더특보는 전날 회의를 했다고 보도됐다. 서울시는 언제 알게 된 것인가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젠더특보만 확인할 수 있는 사안이다. 여기서 말씀드리기보다는 민관조사단을 통해 밝혀질 것이다.
- 민관합동조사단처럼 여성단체, 법률전문가 등의 외부전문가는 비서실에도 있었다. 그럼에도 이런 상황이 발생한 원인은 무엇인가. 조사단은 강제수사권이 없는데 조사를 회피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조사단은 전부 법률전문가, 외부 전문가들이며 조사에 관한 충분한 경험과 지식, 경력을 가지고 있다. 여성단체도 전문성 있다.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 강제수사권 없는 조사기구의 조사 결과 박원순 시장의 범행이 밝혀지면 추가로 고소할 것인가
▲그런 부분 역시 민관합동조사단이 구체적인 사안을 판단할 것이다. 전문가들이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오늘 기자회견문에서 피해를 주장하는 여성 직원이라고 하지 않고 피해 호소하는 직원이라고 나왔다. 이유가 있나
▲직원이 피해 입은 것을 우리에게 공식적으로 말한 것이 없다. 현재로서는 여성 단체를 통해 접촉하고 있다. 현재 피해 호소 여성 직원은 서울시 누구와도 접촉하지 않고 있다.
- 서울시는 해당 직원 신원을 확인했나
▲여기서 말하기 어렵다. 여러 가지 2차 피해나 이런 부분 때문에 말하기 힘들다.
- 임순영 젠더특보가 사전에 박원순 시장에게 피소 사실을 전달했다고 하는데 임 젠더특보는 입장을 밝히지 않나. 사실은 확인했나
▲중요한 사안이기에 젠더특보가 직접 말해야 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앞으로 민관합동조사단이 확인해야 할 사안이다. 조사단이 판단하면 이 부분도 규명될 것이다.
- 민관합동조사단 카운터파트는 누가 참여하나. 기자회견 했던 여성단체도 참여하나
▲그것은 협의해야 할 사안이다. 이 부분에 대해 언론에 밝히는 것은 공정성과 객관성을 최우선 해야 한다는 조사 기조와 다른 내용이다. 여성단체, 인권단체와 함께 서로가 납득할 수 있는 범위와 폭을 결정할 것으로 본다.
- 성폭력 담당하는 여성담당관, 감사실 등 모두 피해 여성 호소 있어야만 인지하나
▲이 부분은 확인된 바 없다. 민관합동조사단이 언론(매체)이 지적한 부분도 판단해 조사할 부분이다.
- 서울시 차원에서 정보 공개가 원활히 되지 않는 것 같다. 브리핑이나 조사단 수사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 있나
▲민관합동조사단 운영을 통해 결정할 것이다. 시의 기조도 그런 부분을 고려해야 할 사안으로 보고 신경쓰겠다.
- 임순영 젠더특보가 '외부에서 들었다'는 보도가 있는데 이 외부가 어디인지 말할 수 있나. 또 피해 호소 여성이란 표현을 쓴 적 있는데...
▲젠더특보가 어떤 곳에서 소식을 접했는지 모른다. 같은 곳인지 다른 곳인지도 모른다. 피해호소 직원 용어는 서울시에 공식적으로 접수되고 수사 시작하는 시점에서 피해자라는 용어를 쓴다. 앞서 이런 용어를 쓴 적은 없다.
- 피해호소 직원이 지원도 안했는데 연락 온 것은 확인됐나
▲그 부분은 아직 확인 안되고 있다. 민관합동조사단이 판단해 진행할 것이다.
- 피해호소 직원이 피해 사실을 알린 것은 확인됐나. 정무라인이 전부 사퇴해 확인 안되는 것인가
▲그 부분도 우리가 특정하기 어렵다. 피해호소 직원의 2차 피해 부분도 있어서 그 부분에 대해선 확인 못하고 있다.
- 2차 피해를 방지하겠다고 했다. 박원순 시장 장례위원회가 피해호소 하지 말라고 단체 문자를 보낸 것은 2차 피해 아닌가
▲발표하지 말라고 한 것은 아니다. 단지 그날이 장례일이기에 그날만큼은 고인을 추모하는 시간으로 부탁드렸다.
- 서정협 부시장이 당시 비서실장이었는데 이 분도 민관합동조사단이 조사할 수 있나
▲민관합동조사단이 구성해 운영하기에 아직 확인할 수 없다. 다만 그것이 공정하고 객관적 조사를 위해 필요하면 그 분들 판단으로 결정될 것으로 생각한다.
※ 우울감이나 정신적 고통 등 주변에 말하기 어려워 전문가 도움이 필요하다면 자살 예방 상담 전화(1393), 자살 예방 핫라인(1577-0199), 희망의 전화(129), 생명의 전화(1588-9191), 청소년 전화(1388) 등에 전화하면 24시간 상담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