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혜은 기자]

전 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하면서 해외 기업들이 직장 내 감염 전파 차단을 위해 방역 수칙과 보조장치를 속속 도입하고 있어 주목된다.
물류센터를 고위험시설로 지정한 우리나라에서도 방역 수칙과 함께 첨단기기를 활용한 방역 강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3일 오후 6시부터 물류센터를 코로나19 고위험시설로 지정했다.
국내에서는 경기 부천 쿠팡 물류센터 관련 확진자만 152명이 발생한 데 이어 고양과 이천 덕평 물류센터에서도 확진자가 나왔다. 롯데제과 물류센터에서도 17명이 발견됐다.
물류센터발 확산이 커지는 이유로 방역당국은 실내흡연실 등 밀폐장소에서 노출돼 대규모로 확산했거나, 물리적인 접촉이 많아 감염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반면 세계적인 이커머스 업체 아마존(Amazon)은 최근 인공지능(AI) 추적 시스템 '거리두기 보조장치'(Distance Assistant)를 도입했다.
거리두기 보조장치는 창고에 설치된 카메라로 직원들 간 거리를 촬영한 뒤 이를 증강현실(AR)로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머신러닝이 주변 환경과 직원을 구분하고, 직원이 안전거리 1.8m를 유지하면 초록색 원으로, 직원 간 거리가 가까워지면 붉은색 원으로 경고한다. 아마존은 이외에도 노동자들이 너무 가까이 있을 때 불을 밝히거나 소리로 경보를 내는 웨어러블(wearable) 기기를 시험하고 있다.
아마존이 도입한 물리적 거리두기 유도 시스템 외에도 실시간으로 장소를 알려주는 시스템인 RTLS(Realtime Local System) 등을 활용한 거리두기 보조장치도 여러 업체에서 개발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기존에 산업 현장에서 보행자와 차량 또는 시설 간 충돌 위험을 방지하는 경보 시스템을 거리두기 보조장치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인식 기술이 탑재된 웨어러블 기기를 찬 근로자들의 거리가 가까워질 경우 이를 소리나 진동으로 알리는 기술로 변형한 것이다. 좁은 구역에 근로자들이 여럿 모여있을 경우 구역에서 경고음을 내는 기술도 개발되거나 출시되고 있다.
방역수칙을 준수하면서 불필요한 접촉 최소화 등 물리적인 거리두기가 시행될 경우 코로나19가 사업장에 침입하더라도 피해가 최소화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방역지침,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수칙을 여러 사람에게 인식시키고 이를 행동으로 옮겨서 실천하도록 하는 방법은 결코 쉽지 않다"며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 등의 도움을 받을 경우 수칙을 행동으로 옮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기업들도 방역 강화 방안이 하나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정부도 이에 호응하고 지원한다면 사업장 내 방역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예방을 위해 적극 도입하는 좋은 기회를 살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건은 비용이다. 아마존과 같이 첨단 기기를 방역에 도입하려면 개발 비용이 필요하다.
정부는 방역 비용을 필수 비용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지난 2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사업장 운영에 있어 방역은 기본이며, 이를 지키지 않았을 때 결국 더 큰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을 명심해 달라"며 "방역수칙을 지키는 데 소요되는 비용은 사업장 내 직원과 사업장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비용임을 기억해 달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