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오주한 기자] 노동운동계 원로(元老)들이 자유한국당 싱크탱크 주최 행사에서 ‘민노총 타도’ ‘문재인 정부 타도’를 입모아 촉구해 눈길을 끈다.
여의도연구원(원장 김세연. 약칭 여연)은 20일 서울 서초동 서울지방변호사회관에서 ‘민노총의 귀족노조, 그 실태와 대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장기표 전 전태일재단 이사장, 주대환 전 민주노동당 정책위의장, 박관용 전 국회의장, 김세연 여연 원장 등이 참석했다.
장 전 이사장은 “민노총은 문재인 정권보다 더 강력한 최고 권력집단이 됐다”며 “민노총을 옹호하는 문재인 정권을 응징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장 전 이사장은 1990년 민중당 정책위의장으로 정계에 입문해 2008~2011년 전태일재단 이사장을 지냈다. 1970년 노동조건 개선을 외치며 분신(焚身)한 전태일은 노동운동계의 상징과도 같다.
고(故) 노회찬 의원과 함께 1987년 인천민주노동자연맹을 창설한 주 전 정책위의장은 민노총 해체를 촉구했다.
그는 “민노총이 이런 괴물이 되라고 우리가 만든 건 아니다”며 “기성세대는 결자해지(結者解之)의 자세로 다음 세대를 위해서라도 우리가 만든 괴물(민노총)을 죽이든지 우리에 가두든지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전 의장은 “민노총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질서 근간을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원장은 “근로자 전체가 아닌 자신들의 기득권 지키기에만 급급한 민노총의 법치파괴 행위는 시민들 동의를 전혀 받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노총은 그간 ‘보수가 퍼뜨린 루머’로 치부됐던 ‘고용세습’이 작년 말 사실로 드러난 바 있다.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은 지난 1월 “민노총 금속노조가 산하 기업노조에서 간부들에 의한 고용세습이 있었던 걸 최초 인정했다”며 “민노총은 이를 관례라고 두둔하며 사실을 공개한 사측만 탓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노총은 이 외 폭력시위, 경찰구타, 급격한 연봉인상 요구 등으로도 논란을 빚어왔다. 문재인 정부 출범과 관련해서는 ‘촛불 청구서’로 정부 약점을 잡고 있다는 의혹도 있다. 국정농단 사태 당시 촛불시위에서 민노총은 조합원 수십만명이 참가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