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동훈 기자] 산업은행이 사드 보복 피해를 입은 국내 기업을 살린다는 명목을 내세워 혈세를 담보로 한 현대차 살리기에 나서 논란이다.
30일 산업은행은 중국 정부의 사드 배치 보복 조치로 인해 피해를 입은 국내 기업에 대해 5500억원의 긴급자금을 투입키로 했다.
이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중국 진출 국내 자동차 부품 업체 등 지원을 위해 사업경쟁력강화 지원자금 5000억원을 특별 배정한다.
지원대상에 경영안정지원자금 500억원도 별도 배정했다. 매출채권 회수 및 계획사업 지연 등으로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 상태에 빠진 기업 지원을 위한 것이다. 현대ㆍ기아차 협력업체 등 사드 배치에 따른 직접 피해 업체가 지원 대상이다.
문제는 시기가 공교롭다. 현대자동차는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판매 부진에 시달리며 중국 공장 5곳 중 4곳의 가동을 중단했다.
현금 흐름에 차질 빚는 현대차가 대금 지급을 제때에 하지 못하자 베이징잉루이제등 일부 현지 부품사가 공급을 끊으면서 생산 라인이 멈췄다.
현대차는 이 회사에 1억1100만 위안(약189억원)의 납품 대금을 지불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이 전해진 것은 29일, 그리고 30일 오전 11시 30분께 산업은행의 긴급 자금 투입 발표가 있고, 이날 오후 1시께 멈췄던 현대차의 중국 공장 4곳이 재가동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이에 한 금융관계자는 “정부가 중국측 부품사에 지불보증을 하면서, 부품이 재공급되면서 공장이 가동된 것이 아니냐”고 의심했다.
실제 산업은행은 최순실 게이트가 드러난 계기였던 ‘대우조선해양 ’등 수차례 빚보증을 섰었다.
지난 4월 산업은행은 상환유예 대상 대우조선해양 회사채·기업어음(CP)의 ‘우선 변제안’이 담긴 최종 채무 재조정 방안을 기관투자자들에 제안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