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수정 기자] 앞으로 수도권 광역전철 노선에 급행열차가 확대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공사는 7월7일부터 수도권에서 운행 중인 수인선, 경인선, 경의선, 안산선 등 4개 노선에 대해 급행전동열차를 신설·확대해 운행한다고 30일 발표했다.
이번에 확대·시행하는 노선은 대피선, 급행 전용선 등 급행전동열차운행에 필요한 인프라가 이미 갖춰진 노선으로 열차의 이용수요와 이용패턴, 차량 및 시설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급행열차가 우선 도입 가능한 노선을 선정했다.
급행전동열차 확대는 열차운행 시간간격을 조정하거나 일반전동열차를 급행전동열차로 전환하는 방법 등을 통해 신설·확대된다.
노선별 광역급행열차 확대 시행계획은 다음과 같다.
경인선(용산~동인천)
용산역에서 동인천역까지 낮 시간대(9~18시)에 특급전동열차가 18회(상행 9회, 하행 9회) 신설·운행된다.
특급전동열차는 전체 26개역 중 9개역(동인천·주안·부평·송내·부천·구로·신도림·노량진·용산)만 정차해 동인천에서 용산까지 약 40분이 소요되며 일반전동열차 대비 20분, 급행전동열차대비 7분의 시간단축 효과
경의선(서울~문산)
서울역에서 일산역까지 낮 시간대(9~18시)에 일반급행열차가 10회(상행 5회, 하행 5회) 신설·운행된다.
이에 따라 서울~일산구간은 급행열차가 1일 4회에서 14회로 확대되고, 일반전동열차 대비 이동시간이 6분 단축되는 등 서울동북부 지역주민의 서울 접근성이 한층 좋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수인선(인천~오이도)
인천역에서 오이도역까지 급행전동열차가 출퇴근시간(7~9, 18~20시)대에 8회(상행 5회, 하행 3회)가 신설·운행된다. 급행열차가 도입되면 14개역 중 7개역(인천·인하대·연수·원인재·인천논현·소래포구·오이도)만 정차하며 인천역에서 오이도역까지 23분 소요되어 일반전동열차 대비 7분 단축효과가 있다.
안산선(오이도~금정)
현재 출퇴근 시간대(7~9, 19~22시)에 8회(상행 5, 하행3) 운행 중인 급행전동열차의 시·종착역을 안산역에서 오이도역까지 연장하여 운행한다.
급행열차 수혜지역이 시흥시까지 확대되어 시흥시 지역주민들의 서울 등 도심 접근성이 향상되고, 수인선과 안산선의 급행열차를 오이도역에서 바로 환승할 수 있도록 운행시간을 조정해 이용객 편의성을 높이고 인천~금정 구간의 운행시간 단축(약 13분) 효과도 기대된다.
아울러 급행전동열차를 확대·시행하려면 일부 역은 불가피하게 정차횟수가 감축되어 일부 이용객은 열차이용에 불편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차 이용수요, 이용패턴 및 열차 운행시간 등을 분석해 필요 시 열차운행 시간조정 등을 보완하면서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전철 이용객이 보다 편리하게 열차를 환승, 탑승할 수 있도록 이용객의 이동거리를 단축하는 역사 시설개량사업도 병행해 추진한다.
우선 청량리역(광역⇄ITX 등)은 올해 안에 개선 작업을 완료하고, 가산디지털단지역(1, 7호선) 등 나머지 역은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부와 철도공사는 수도권 교통정체 해소를 위해선 광역철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만큼 급행열차 효과, 노선별 이용수요 및 열차 운행여건 등을 보아가며 출퇴근 시간대에도 급행열차의 확대도입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이번 수도권 광역철도 급행열차 확대를 통해 국민들이 보다 편안하고, 편리하게 열차를 이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