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세권 기자]새누리당 공천 후폭풍이 최고위에 이어 공관위까지 옮겨 붙었다.
원유철 원내대표를 비롯해 서청원 이인제 김태호 최고위원 등 친박계 최고위원들은 17일 김무성 대표를 빼고 최고위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여당 지도부가 두동강이 났다. 이날 오후 개최된 공관위도 회의 시작 30여분만에 외부위원들이 회의장을 박차고 나와 파행을 빚었다.
발단은 주호영 의원의 컷오프에 대한 '재의' 문제 때문. 참석자들에 따르면 김무성 대표측 공관위원인 황진하 사무총장과 홍문표 부총장은 전날 이한구 공관위원장이 발표한 주 의원에 대한 '재의 반려' 결정에 대해 “공관위 차원에서 투표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제동을 걸었다.
두 사람은 그러면서 “주호영 의원의 경우 불교계가 전부 들고 일어났다”며 “재의가 필요하다”고 주 의원 구제를 강력 주장했다. 그러자 이한구 위원장은 “이미 어제 다 결론이 났는데 무슨 소리냐”며 격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질새라 황 총장과 홍 부총장도 언성을 높이며 이 위원장에게 맞섰다. 그러자 외부 공관위원들이 “지난번에 분명히 김무성 대표가 공관위의 독립성을 보장하며 공천 문제에 일체 관여하지 않겠다고 해놓고선 왜 약속을 어기는 것이냐”며 전날 김 대표의 공천 비판 기자회견을 문제 삼으면서 이 위원장에 가세했다.
외부 공관위원들은 “김 대표가 공관위의 독립성을 침예한 데 대해 공식 사과해야 한다”며“사과가 있기 전에는 더이상 공관위 활동을 할 수 없다”고 회의 보이콧을 선언했다. 이 위원장 역시 외부 위원들과 함께 당사를 떠나 이날 회의는 더이상 이뤄지지 않았다.
앞서 친박계 최고위원들도 김 대표의 공천 비판 기자회견에 공식 사과를 요구한 바 있다. 친박계 최고위원들과 외부 공관위원들이 연대 행동에 나선 셈이다.
한 외부위원은 공관위 파행 직후 “황진하, 홍문표 두 공관위원이 김무성 대표에게 외부 공관위원들의 발언 내용을 실명으로 보고하고 있다”며“김 대표에게 누가 여기에 반대하고, 누구는 여기에 어떤 입장을 냈는지 실명으로 상세하게 보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이건 뭐 사찰도 아니고, 하도 기가막혀서 우리 외부공관위원들끼리 회의장에 도청장치가 있는게 아니냐고 의심할 정도”라고 김 대표측을 성토했다.
황진하 사무총장은 “외부 위원들이 김무성 대표 발언이 부적절했다고 자기들은 수용할 수 없다면서 회의 진행을 거부했다”면서“그래서 오늘 경선결과 발표도 하고 비례대표 논의도 해야 하니 나중에 다시 그 문제(김 대표 사과문제)를 다루자고 했더니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외부 공관위원들이) 회의장에서 나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