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세권 기자]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는 6일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대위 대표가 제안한 '야권통합론'과 관련, "모두가 이 광야에서 죽을 수도 있다. 그래도 좋다"며 절대 수용 불가 입장을 재확인했다.
안 대표는 이날 오전 마포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물도 없고, 먹을 것도 없고 사방에는 적뿐이지만 그래도 돌아갈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 연석회의에서 많은 의원들이 굳은 결의를 보여줬다"면서 "'힘든 선거가 될 줄 알면서도 나왔다. 죽는다면 이 당에서 죽겠다'고 말을 했다"고 전했다.
안 대표는 "이제 더이상 국민에게 희망 고문을 할 수 없다"며 "야권 통합만으로는 의석 몇석을 더 늘릴 수 있을지 몰라도 정권교체 희망은 없다"고 단호하게 거부했다.
그는 "(야권통합)은 만년 2등, 만년 야당의 길"이라며 "정권교체를 못해도 좋으니 '국회의원 다시 됐으면 좋겠다'는 전략 아닌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민의당은 정치인을 위해 존재하는 당이 아니"라며 "국민을 위한 당이 하나는 있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에 태어난 당"이라고 덧붙였다.
안 대표는 또 김종인 대표의 야권통합 제안에 진정성이 없음을 다시 비판했다.
그는 "김종인 대표가 새누리당의 승리를 막기 위해 야권통합을 하자고 했지만, 이는 진정성 없는 제안"이라며 "제안 2일 전 우리 당의 천정배 대표를 떨어뜨리려 영입인사를 자객공천을 해놓고 어떻게 통합을 말할 수 있는가"라고 비판했다.
이어 "한 손에 칼을 들고 악수를 청하는 것은 명백한 협박과 회유"라며 "얼마 전 우리당에 와있는 분들에 대한 컷오프 결과를 발표한다는 무례한 행동을 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당 의원들을 모욕하면서 '합치자, 돌아오라' 하는 것은 진정성 있는 제안이 아니라 정치 공작"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 대표는 서울시장직 양보와 대권 양보 사례를 예로 들며 통합 논의의 적임자는 자신이라고 주장했다.
안 대표는 "저는 야권통합을 위해 세 번이나 결단했다. 국민 앞에 세 번이나 저를 믿고 지지해달라고 연대보증을 섰다"며 "한 번은 성공했고 두 번은 실패했다"고 말했다.
이어 "박원순 서울시장은 제 양보가 헛되지 않게 승리했다지만 (문 전 대표는) 약속한 정권교체를 이루지 못했다"며 "야당다운 야당으로 변하지도 못했다. (당시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간) 합당의 접착제였던 기초선거 무공천도 안 지켰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두 번의 잘못 된 보증은 꼭 갚겠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또 "안철수가 새누리당에 맞서 야권통합을 위해 일관되게 세 번 결단하는 동안 김종인 대표는 새누리당의 세 확산을 위해 헌신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제가 문재인 후보의 대통령을 만들기 위해 함께 다니는 동안 김종인 대표는 박근혜 후보와 함께하며 '문재인과 민주당에 정권을 맡기면 안된다'고 한 분"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지난 4년 간 김종인과 안철수의 선택을 비교해 보라"며 "누가 통합을 말할 자격 있느냐"고 물었다.
안 대표는 끝으로 "국민이 국민의당에게 기회를 준다면 정말 국민을 위한 작은 변화라도 보여드리겠다"며 "국민의당에 격려를 부탁드린다"고 지지를 호소했다.
한편 최원식 수석 대변인은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통합이 아닌 수도권 연대 가능성에 대해 "수도권 연대(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통합 논의에 대한 이견으로 의원들의 탈당 가능성에 대해서는 "탈당은 곧 정치적 사망이 될 것"이라고 일축, 가능성을 낮게 봤다.
그는 더민주에서 공천배제 돼 탈당한 무소속 전정희 의원의 합류 가능성에 대해 "전 의원은 우리와 같이할 의사가 상당히 있다"며 "다음주 정도에는 교섭단체 구성이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