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유한태 기자]4월 총선을 앞두고 '47년만의 필리버스터 부활'이라는 극한 대치를 낳은 테러방지법이 여야 격돌만큼이나 여론도 대혼전양상이었다.
여론조사전문기관 한국 갤럽이 지난 2~3일 전국 성인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임의전화걸기 방식으로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한 결과, 테러방지법 제정에 대해 '일반인까지 사찰 우려 있어 반대한다'는 답은 51.0%로, '테러방지에 필요하므로 찬성'이라는 응답(39%)보다 12%p 높았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 지역에서 '반대' 입장이 69%로 가장 높았고 서울 등 수도권에서는 56%가 '반대'했다. 반면 대구·경북지역에서는 59%가 '찬성'하는 입장이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중 85%가, 국민의당 지지자 중 60%가 '반대' 입장이었고, 지지정당이 없다고 밝힌 응답자 중에서도 60%가 '반대'한다고 답했다.
야권의 테러방지법 저지 필리버스터에 대한 평가에서는, '잘한 일'이라는 응답(40%)과 '잘못한 일'이라는 응답(38%)이 오차범위 내 혼전 상황이었다.
반면 조선일보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2월29일~3월1일까지 전국 유권자 1035명을 대상으로 RDD(임의전화) 방식으로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한 결과에 따르면, 테러방지법에 대해 '국정원의 권한 남용을 막고 인권 보호를 위한 견제 장치가 있기 때문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47.5%로 '국정원의 과도한 권한으로 인권침해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반대한다'는 답(41.1%) 보다 다소 많았다.
야권의 필리버스터가 한창이던 지난 달 25일 조사 때도 테러방지법 찬반은 뚜렷한 한쪽의 우위를 나타내지는 못했다.
MBN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2월 25일 하루동안 전국 유권자 54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60%)와 유선전화(40%)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으로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2%p)한 결과, 테러방지법에 대해 '국민 안전을 위해 현재 원안을 통과시켜야 한다'는 의견은 42.0%였다.
반면 '인권침해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테러방지법 반대' 의견이 25.3%, '국정원의 권한을 줄이는 내용 등을 담은 수정안 통과' 의견이 23.6%로 집계됐다.
새누리당과 정부가 주장한 '원안통과'(42.0%)에 비해 야당의 입장인 '수정통과' 또는 ‘'입법반대'(48.9%)가 오차범위(±4.4%p) 내인 6.9%p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된 셈이다. '잘 모르겠다'는 유보층도 9.1%나 됐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http://www.nesdc.go.kr)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