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세권 기자]국민의당은 4일 최고위·의총 연석회의와 비공개 최고위를 통해 더불어민주당이 던진 야권 통합 제안을 거부키로 확정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마포구 당사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 직후 기자들과 만나 “더 이상 통합에 대한 논의는 불가하다고 모두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안 대표는 “이견은 없었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우리의 불꽃을 다시 살리자는 각오를 다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국민의당이 더민주 김종인 대표의 야권 통합 제안 직후 의총과 최고위를 열고 전격적으로 의견을 통일한 것은 연이어 불거져온 당내 혼선을 '정면돌파'를 통해 잠재우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실제 김종인 대표의 갑작스런 통합 제안 이후 국민의당 내에서는 통합 가능성을 놓고 정리되지 않은 입장이 쏟아져 나왔다.
여기에 김한길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이 “깊은 고민과 뜨거운 토론이 필요하다”고 답하면서 통합론에 대한 당내 지도부의 온도차가 명확히 외부로 드러나기도 했다.
이후 안 대표가 직접 나서 “(김종인 대표 발언은) 제안이 아니라 국민의당에 대한 정치적 공작이고 공격”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표했지만 어수선한 분위기는 정리되지 않았고, 오히려 사전 논의 없는 발언으로 인해 지도부 갈등 양상만 부각됐다.
그러나 이날 국민의당이 연석회의와 비공개 최고위를 통해 전격적으로 전체적인 의견 수렴에 나서 '통합 거부' 결론을 내면서 당내 혼선은 일단락되는 분위기다.
여전히 통합을 긍정적 고려하자는 구성원이 일부 남아있더라도, 연석회의를 통해 거부 입장이 도출된 만큼 이견을 외부로 표출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당초 국민의당 현역 의원들 중 상당수는 통합에 찬성하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당대 당 통합뿐만 아니라 개별 복당 등의 방안이 거론되기 시작하자 통합에 찬성하던 의원들도 오히려 점차 통합 불가에 힘을 실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물밑에서 더민주 측과 통합 논의를 지속해온 것으로 알려진 김한길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은 통합 가능성을 열어놔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더민주 박영선 비대위원과 김한길 위원장 측근인 최재천 의원이 지난 2일 회동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당내 분위기가 통합 거부로 흘러가자 연석회의 막바지에 홀로 회의장을 빠져나오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이후 연석회의에서 박수가 터져나오자 다시 회의장으로 돌아갔다.
국민의당이 통합 불가 방침을 세웠더라도 총선을 앞두고 수도권 연대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아울러 당내 대표적 통합 지지파인 박지원 의원은 이날 연석회의에 아예 참석하지 않았다.
국민의당의 경우 당내 '뇌관'으로 꼽히는 호남 공천 문제가 남아있는데다 지지율이 꾸준히 하락해온 만큼, 공천 잡음이 불거지거나 지지율이 반등되지 않을 경우 연대론이 고개를 들 가능성은 농후하다.
한편 더민주는 이날 국민의당이 통합 거부 방침을 확정하자 김성수 대변인을 통해 구두논평을 내고 “야권이 단합해 거대 새누리당의 1당 독재를 막아야 한다는 국민적 여망을 외면한 처사”라고 유감을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