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민재 기자]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대위 대표의 ‘햇볕정책 수정론’ 을 두고 새누리당과 국민의당이 상반된 반응을 나타내는 등 정치권이 술렁이고 있다.
새누리당 신의진 대변인은 25일 논평을 통해“북한에 대한 정책은 국가 안위와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위중하게 다뤄야 한다”며 “(더민주가) 현실감각을 찾고 있다”고 극찬했다.
신 대변인은 이어 “김 대표가 진심으로 국가 안보를 걱정한다면 야당의 수장으로서 지금 국회 본회의장에서 자행되는 더민주 의원들의 ‘무제한 토론쇼’부터 즉각 멈추게 할 일”이라고 촉구했다.
아직까지 김 대표가 필리버스터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은 점을 겨냥한 발언이다.
반면 국민의당은 김 대표 발언에 대해 “자신의 지론인 궤멸론을 말만 바꾼 것”이라며 '북 궤멸론' 발언까지 다시 꺼내 공격에 나섰다.
국민의당 김정현 대변인은 “햇볕정책의 기본 축은 튼튼한 안보와 남북 화해·협력”이라며“햇볕정책을 정책적 정략수단 쯤으로 여기고 어느 한쪽을 포기하는 것은 햇볕정책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김 대표의 햇볕정책에 대한 이해력 부족을 개탄할 수밖에 없게 됐다”며“김 대표는 다시는 햇볕정책의 'ㅎ'자도 입에 올리지 말라”고 몰아쳤다.
한편 김종인 대표는 이날 오전 광주를 찾아 “북한이 핵을 갖지 않았던 시점의 햇볕정책은 유효한 대북정책이었지만 북한이 핵을 보유한 지금 대북정책은 진일보해야 한다”고 햇볕정책 수정 가능성을 내비쳤다.
김 대표는 이후 자신의 발언이 논란이 되자 “햇볕정책을 수정한다는 게 아니라 (햇볕정책 정신은) 살아있지만 지금 상황 변화에 따라 햇볕정책을 지금 쓸 순 없단 얘기”라고 진화에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