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김남규 기자]유커(중국 관광객)들이 밀려드는 제주지역 건설·서비스업 경기 호황으로 서귀포시가 시단위에선 최고 고용률을 나타냈다. 군단위에선 어업이 활발하고 최근 관광객 수요가 크게 늘고 있는 경북 울릉군의 고용률이 가장 높았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시군별 주요고용지표 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제주 서귀포시와 제주시의 고용률은 72.0%와 65.9%로 전국 77개 시지역 중 1위와 3위를 차지했다.
제주 지역은 건설경기와 서비스업·소비 호황에 따라 각종 고용지표도 개선되는 추세다.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고용률은 지난해 상반기 65.0%에서 67.5%로 상승했고 실업률은 2.9%에서 2.1%로 낮아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서귀포시와 제주시의 경우 농림어업과 도소매업, 음식숙박업의 비중이 고르게 높다"며 "이런 도농복합도시의 고용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충남 당진시(68.3%), 충남 보령시(65.3%), 경기 이천시(64.3%) 등의 시지역에서 고용률이 높았다.
반면 경기 과천시(52.9%), 경기 동두천시(53.0%), 전북 전주시(53.1%) 등은 하위권에 머물렀다.
78개 군 지역 중에서는 경북 울릉군(81.2%)의 고용률이 가장 높았다. 울릉군은 섬 지역이어서 농업, 특히 어업과 관광객 증가로 관련 종사자들의 취업이 두드러졌다. 전남 신안군(75.7%), 경북 의성군(74.6%), 충남 태안군(73.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경기 연천군(56.8%), 경기 양평균(58.0%), 전남 화순군(60.7%) 등의 지역은 고용률이 가장 낮았다.
한편 전체 취업자 중 15~29세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율은 경북 구미시(19.4%), 경기 수원시(18.0%), 충남 천안시(17.9%) 등에서 높았다.
하지만 농업 인구 비중이 높은 전남 보성군(3.9%), 경북 봉화군(3.9%), 전남 고흥군(3.9%) 등은 청년 취업자 비중이 5%에도 미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