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새로운 삶의 방식 '언택트'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접촉하다는 의미의 ‘콘택트(contac)’에서 부정의 의미 ‘언(un-)’을 합성한 언택트란 용어는 ‘코로나 시대’ 삶의 방식을 논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개념이 됐다. 언택트는 소비 방식과 일상 뿐만아니라 사람의 생각과 정서마저 반영하고 바꾸고 있다. 물리적 거리와 연결의 필요성 광고회사 이노션 월드와이드는 지난해 4월부터 금년 3월까지 200만 건의 관련 데이터를 분석한 ‘바이러스 트렌드' 빅데이터 분석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이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이 확산되면서 언택트 관련 온라인 언급량이 6만여건으로 약 3배 증가했으며, 특히 국내 확진자가 증가한 올해 2월 이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언택트는 소비자 구매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준이었지만 코로나 사태 이후 사회 전반에 다양한 아이디어와 접목되며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 내고 있다. 다양한 ‘드라이브 스루’ 서비스가 등장했으며 온라인을 통한 전시회와 공연이 늘어나고, 유명인들의 다양한 챌린지가 공유됐다. 재택근무가 늘어나면서 화상 회의를 위한 대표 모바일 앱 전월 대비 상승 증가율이 3000% 이상으로 나타났고, 온라인 개학의 영향으로 교육분야에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