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최근 행정자치부 아이핀(주민번호 대체 개인식별번호)부정발급 사고와 관련, 방송통신위원회가 민간 아이핀에 대해 2차 인증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방통위 관계자는 5일 "민간 아이핀의 경우에는 이번 사고와 같은 부정발급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민간 아이핀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2차 인증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민간 기관을 대상으로 발급되는 아이핀을 관리하는 방통위는 이번 공공 아이핀 부정발급 사고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지만 민간 아이핀 부정발급 사고 예방에 나선 것이다.
방통위는 민간 기관을 대상으로 아이핀을 발급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협력해 민간 아이핀에 대해 2차 인증 의무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KISA는 행자부 아이핀 시스템에서 부정발급된 아이핀 전부를 삭제토록 조치했으며 현재 부정발급 사고가 일어난 경위 등을 파악 중이다.
향후 방통위와 KISA는 행자부 등 관련 기관과 아이핀의 기술적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한 대책 마련을 검토 중이다.
한편 이날 행자부는 지난달 28일부터 2일 오전까지 아이핀 시스템에서 부정 발급된 아이핀은 75만개이며 모두 행자부에서 사용되는 공공 아이핀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