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6층 이상 건축물 외벽에 불연·준불연 마감 재료 사용이 의무화된다.
상업지역의 건축물 중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인접대지와 6m 이격거리를 두고 건축해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발생한 의정부 아파트 화재사고와 관련해 건축물 화재사고 방지대책을 담은 '건축법 시행령', '건축물의 피난·방화규칙'등 관련 법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고 12일 밝혔다.
개정안은 건축물 외벽을 불연·준불연 마감 재료를 사용해야 하는 대상 건축물 규모 기준이 30층 이상에서 6층 이상 건축물로 확대된다.
의정부 화재사고에서 쓰였던 드라이비트 공법 등 '미장·단열 일체형 마감공법'의 경우, 단열재로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화를 키웠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국토부는 이에 맞춰 화재시 외벽자재가 착화돼 수직 확산되지 않도록 매 층마다 불에 타지 않는 재료로 높이 40cm 띠 형태로 두르는 공법 사용을 의무화했다.
또한 종교시설, 숙박시설, 요양원 등 거주 인원이 많거나 노약자가 이용하는 건축물은 규모와 관계없이 건축물 내부에 난연성 마감 재료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현재는 일정 규모 이상인 건축물만 불에 타지 않는 내부마감재를 사용토록 하고 있다.
상업지역 내 건축물도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접대지와 이격기준(6m 이내에서 조례로 규정)을 적용해야 한다.
고밀개발이 이뤄지는 상업지역 안에서 건물 간 이격기준이 적용되지 않아 화재 발생 시 인근 건축물로 확산될 우려가 높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함께 건축물 1층 부분을 필로티 구조로 할 경우 유사시 피난에 문제가 없도록 대피통로를 설치해야 하며, 천장과 벽체 부분은 난연성 마감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의정부 화재사고 당시 현관 앞 주차 차량의 연소로 피난이 어려웠고, 천장에 가연성 단열재를 사용해 화재가 급속히 확산됐던 점을 감안한 것이다.
이번 개정안은 올해 7월까지 개정이 완료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