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지난해 국내 은행의 순이익이 부실 대기업과 관련된 대손비용이 줄어든데 힘입어 60%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국내은행의 2014년 중 영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은행의 당기 순이익은 6조2000억원으로 전년(3조9000억원)보다 2조3000억원(60.4%) 증가했다.
이는 부실 대기업과 관련된 대손비용이 감소하고, 자회사 투자지분손실이 줄어든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해 국내은행의 대손비용은 8조9000억원으로 전년(11조9000억원)보다 3조원(24.9%) 줄었다.
지난해 동부제철·삼부토건의 자율협약 및 넥솔론·모뉴엘의 법정관리 신청 등 대손비용 증가 요인이 많았다. 하지만 2013년 발생했던 조선 관련 대손비용이 크게 줄어들었다.
또 국내은행의 영업외손실은 3000억원으로 전년(1조7000억원) 대비 손실액이 1조4000억원 감소했다. 이는 2013년 1조3000억원 규모로 발생한 자회사 지분투자 손실이 지난해 이익(2000억원)으로 전환된 데 따른 것이다.
국내은행의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32%로 전년(0.21%) 대비 0.11%포인트 상승했다. 최근 10년(2004년~2013년) 평균(0.65%)에 비해서는 크게 낮은 수준이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4.19%로 전년(2.69%)보다 1.50%포인트 상승했다. 2013년(2.69%)을 제외할 경우 2003년(3.41%) 이후 최저 수준이다.
국내은행의 이자이익은 34조9000억원으로 전년(34조9000억원)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순이자마진(1.79%)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1.98%) 보다도 0.19%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비이자이익은 3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수수료이익(4조6000억원)이 소폭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유가증권평가손실이 3000억원 확대되면서 전년에 비해 5000억원(12.8%) 감소했다. 인력구조조정에 따른 명예퇴직급여 증가 등으로 판매비와 관리비는 전년 대비 7000억원 증가한 20조3000억원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