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정부의 고정금리 대출 확대 정책 영향으로 은행권의 중도상환 수수료 수입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5일 신학용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민·우리·신한·하나·농협·기업·외환은행 등 7개 국내은행이 지난해 중도상환 수수료로 얻은 수입은 282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들 은행의 중도상환 수수료 수입은 지난 2010년(2142억원)부터 꾸준히 늘어 지난 5년간 1조2787억원에 달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가계대출 중도상환 수수료가 1896억원으로 전체 중도상환 수수료 수입의 67.1%를 차지했다. 5년간 수수료 통계를 합산하면 8296억원(64.9%)을 가계로부터 벌어들였다.
정부는 서민들의 가계부채 질적 개선을 위해 변동금리 대출에서 고정금리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다만 이 과정에서 대출고객들은 은행에 중도상환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결국 고정금리 대출로 전환하는 고객들이 늘어나자 은행들의 수수료 수입도 함께 증가하는 상황이다.
또한 공기업인 주택금융공사는 일반은행보다 더 많은 중도상환 수수료 수입을 올리고 있다. 주택금융공사는 보금자리론·내집마련 디딤돌·적격대출 등의 상품으로 최근 5년간 3186억원의 수수료 수익을 올렸다.
신학용 의원은 "금융위원회가 아무리 고정금리 전환을 유도해도 당장 중도상환수수료를 낼 여력이 없는 서민들은 한 푼이라도 아끼기 위해 변동금리 대출로 남아있을 수밖에 없다"며 "진정으로 가계부채 질적 개선을 원한다면 은행의 중도상환수수료율부터 개선할 수 있도록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