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올해 1분기 우리 수출은 불안정한 세계경기 상황 속에서도 지난해 4분기 수준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코트라는 지난해 12월3일부터 12월19일까지 113개 무역관에서 바이어와 주재상사 직원 2231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2015년 1분기 수출선행지수가 52.0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수출선행지수는 해외 바이어, 주재상사들의 주문 동향을 토대로 수출경기를 예측하는 것으로 50 이상이면 전분기 대비 수출호조, 50 미만이면 전분기 대비 수출부진을 의미한다
이는 지난해 4분기 대비 0.1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지난해 4분기 수준의 수출이 기대되나 환율 불안 및 일부 국가 경기부진 등 대외적 여건은 회복을 다소 더딜 것이란 전망이다.
해외바이어와 주재상사 근무자들의 현지 체감경기를 지수화한 수입국경기지수는 지난 4분기에 비해 0.9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경기 부진을 겪고 있는 일본과 유가 하락의 영향을 받고 있는 CIS(독립국가연합) 지역의 하락 폭이 컸다.
우리 제품에 대한 품질경쟁력지수는 0.8포인트 하락했으나 기준치를 상회한 55.5포인트를 기록, 양호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품목별 수출선행지수는 컴퓨터가 59.3으로 가장 높았고 무선통신(58.6), 식품류(58.6), 자동차(56.8), 가전(55.2) 등의 순이었다. 자동차는 지수가 전분기보다 14.8포인트나 올랐고 컴퓨터, 무선통신 등도 상승폭이 컸다.
반면 일반기계(43.9), 반도체(47.2), 석유제품(47.6) 등의 수출선행지수가 전분기보다 비교적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지역수출 선행지수는 러시아 및 독립국가연합(CIS)(33.0) 지역이 유가 하락과 루블화 가치 하락으로 러시아 경제위기가 확대되면서 수출이 위축될 것으로 예상됐다. 중남미(47.2)와 엔저 지속 및 소재산업에서 우리 제품과의 가격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일본(35.8)도 지목됐다.
이에 반해 중국(60.1)과 북미(58.6), 유럽(54.0), 중동 아프리카(52.7), 아시아(52.6) 지역도 수출선행지수가 분기와 비교해 상승해 수출여건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