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 대비 고정자산이 미국이나 일본, 스위스보다 더 높다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우리나라의 자본스톡 확정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고정자산은 재작년 말 기준 4756조8000억원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3.5배를 기록했다.
고정자산은 건물, 토지 등 기업이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영업활동에 사용하기 위해 운용하는 ▲설비자산 ▲건설자산 ▲지식재산 등을 뜻한다.
우리나라의 GDP대비 고정자산비중은 ▲1970년 1.3배에 그쳤으나 ▲2000년 2.7배 ▲2005년 2.9배 ▲2006년 3.0배를 거쳐 ▲2012년 3.5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이는 주요 선진국 평균인 3.5배와 동일한 것으로, 영국이나 프랑스보다는 낮지만 미국이나 독일, 핀란드, 일본, 스위스 등 주요 선진국보다 더 높은 수준이다.
조태형 한국은행 국민B/S팀장은 "고정자산비중은 우리나라의 자본 축적이 이미 상당 수준 진전됐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지식재산 생산물(IPPS)도 연구개발 급증에 힘입어 1970년 GDP의 2.0%수준에서 2012년 18.3%(252조7000억원)으로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GDP대비 연구개발 지출 비중은 재작년 기준 4%로 세계 1위였고, 지출 규모도 미국, 일본, 중국 등에 이어 세계 6위를 기록했다.
조 팀장은 “중후장대한 분야의 투자는 충분하니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면서 “새로운 투자의 원천을 창출해야 한다. 영리하게 투자를 해야 하는데, 생산성에 기여할 수 있는 쪽으로 그런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