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700㎒ 주파수를 둘러싼 지상파와 통신업계 간 '힘겨루기'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25일 방송통신 업계에 따르면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위원들은 오는 26일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700㎒ 주파수 잔여 대역(88㎒) 용도를 논의하기 위한 주파수정책소위원회를 열 예정이다.
앞서 국무조정실은 지난달 14일 주파수심의위원회를 열고 700㎒ 주파수 총108㎒ 폭 중 재난망용 주파수 20㎒ 폭(718~728㎒·773~783㎒)를 확정했다.
지상파는 2025년까지 초고화질(UHD) 전국 방송을 하려면 나머지 주파수 88㎒ 폭(이동통신용 40㎒ 폭 재검토 포함)중 54㎒를 '방송용'으로 우선 배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UHD 전국 방송을 실시 하려면 2020년 프로그램을 UHD로 제작해 전국에 생중계하는 실험방송을 거쳐야 하고, 실험방송을 하려면 기존 2개 채널 외에도 9개 채널을 700㎒ 대역에서 확보해야 해 총 54㎒ 폭(채널별로 6㎒)이 필요하다는 게 지상파의 주장이다.
한국방송협회 관계자는 "실험방송을 하려면 700㎒ 주파수 나머지 대역이 필요하다"며 "주파수를 추가로 확보하지 못하면 실험방송을 할 수 없고 UHD 방송으로 넘어갈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상파가 실험방송을 할 수 있도록 54㎒ 폭을 빌려주면 2020년부터 UHD 전국 방송(실험방송)을 시작하고 UHD방송으로 완전히 전환되는 2025년에 채널 재배치를 통해 남게 되는 HD주파수(132~150㎒)를 반납할 수 있다"고 했다.
반면 주무부처인 미래부와 방통위는 현재까지 주파수 나머지 대역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밝히지 않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700㎒ 주파수 잔여대역 용도를 논의하는 첫 회의인 만큼 (이번 주파수소위는)상견례 성격이 강하다"고 말했다.
다만 700㎒ 주파수 나머지 대역은 UHD 방송용 주파수 뿐 아니라 미래 수요에 대비한 통신용 주파수로도 분배돼야 한다고 미래부와 방통위는 보고 있다.
주파수소위에는 윤종록 미래부 제2차관, 이기주 방통위 상임위원, 전성배 미래부 전파정책국장, 정종기 방통위 방송정책국장이 참석한다.
미래부와 방통위는 이미 결정된 이동통신용 주파수 대역 재검토를 포함해 관계 기관과 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700㎒ 주파수 나머지 대역 활용방안을 마련, 2015년 상반기 주파수심의위원회에 상정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