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한국이 총 454(국제표준화기구·국제전기기술위원회·국제전기통신연합)건의 국제 표준특허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2012년 대비 20%(77건) 증가한 수치로, 국제 표준특허의 4.5%(6월 기준)를 확보해 세계 6위를 기록했다.
대통령 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는 19일 오전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제5차 '표준특허 전략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연구개발·표준화·표준특허와 관계된 부처·기관들이 모여 2014년도 한 해 동안 추진한 사업 실적과 성과를 공유하고, 표준특허 성과를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 전주기의 성과관리 방안을 논의했다.
그 결과 표준특허 보유기관도 21개 기관으로 확대됐고 표준특허 전문인력도 192명으로 확충됐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계·협력을 통해 2017년에는 전략목표인 세계 4위(10% 비중) 달성을 기대하고 있다.
정부에서 연구개발 및 표준화 추진과제를 표준특허 창출로 연계해 지원한 결과 2010년부터 올해까지 총 96건의 표준특허를 확보했다.
협의회를 주재한 권규우 지식재산전략기획단 지식재산진흥관은 "앞으로도 대학·연구소·기업이 연계하고, 연구개발·표준·특허 전문가들이 협력해 표준특허를 창출할 수 있도록 표준특허 전략협의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