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이하 연맹)이 공익 버스사업체인 금호고속의 사모펀드로의 매각 움직임에 대해 대중교통 안전을 위협하고 교통권을 침해한다는 이유 등을 들어 공개적으로 반발했다.
연맹은 3일 성명을 통해 "사모펀드에게 국민의 발인 버스 운수업체를 매각해 단물을 빼먹고 사라지려는 '먹튀'가 시도되고 있다"며 "노동자들의 의견을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이번 매각절차를 절대로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금호그룹은 지난 2012년 자금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BK 투자증권-케이스톤 컨소시엄에게 금호고속을 매각했다.
당시 금호그룹과 IBK 투자증권-케이스톤 컨소시엄은 금호고속 경영권을 인정하고 기한이 끝나 재매각할 경우 금호그룹에 우선매수권을 주도록 협정을 체결했다.
하지만 최근 IBK 투자증권-케이스톤 컨소시엄측이 금호고속 매각을 공개방식으로 진행하면서 또 다른 사모펀드에 재매각을 추진 중이다.
연맹은 "현재 본입찰 참가후보자가 된 모 사모펀드는 ING생명과 씨앤앰 인수 후 무리한 구조조정과 노동자 해고 등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사모펀드"라며 "사모펀드는 투자금 회수와 매매 차익 극대화를 위해 지나치게 높은 배당금을 지불하거나 단기차익을 위해 노동자들을 해고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장기적 발전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음은 이미 사회적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버스운수업은 공익사업으로, 최소한의 사회적 책임마저 도외시하는 사모펀드가 인수한다면 이용객이 적은 비수익 노선은 폐쇄하고 운전기사마저 최소 인원만 남기고 해고할 것이 자명한 사실"이라며 "이는 결국 국민들의 교통권과 대중교통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위험천만한 행위"라고 강조했다.
연맹 측은 "만약 IBK 투자증권-케이스톤 컨소시엄이 버스업계와 노동자들의 의견을 배재한 채 먹튀를 위한 매각 절차에 돌입할 경우 우리 전국 8만 조합원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로 간주하고 전면 투쟁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