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한국경제의 성장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 부문의 노동생산성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은행은 28일 'BOK 경제리뷰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이 떨어진 데는 노동생산성의 둔화가 크게 작용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1~2007년 우리나라의 실질GDP 성장률은 4.9%, 노동생산성은 4.6%였으나,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실질GDP 성장률은 3.2%, 노동생산성은 3.0%로 각각 감소했다.
노동생산성(실질부가가치/취업자수)은 2000~2007년 연평균 3.3% 높아졌으나 2010~2013년 기간에는 1.8% 향상되는 데 그쳤다.
노동생산성 둔화 배경으로는 ▲금융위기 이후 설비투자 부진에 따른 자본심화도(1인당 자본량) 하락 ▲제조업에 비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서비스 중심의 고용 증가 ▲한계기업의 누증 ▲인구구조 변화 등이 꼽혔다.
보고서는 "미국 리먼브러더스 발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이후 국내 기업들이 투자를 축소함에 따라 근로자들의 생산성 향상을 뒷받침할 장비 투입이 줄어들며 노동생산성 둔화를 가져왔다"고 진단했다.
또 금융위기 이후 대거 직장을 떠난 베이비부머 세대를 비롯한 장년층이 도소매, 음식·숙박 등으로 이동한 것도 노동생산성 하락의 또 다른 배경이라고 지적했다.
산업별 장년층 취업자는 제조업의 경우 2005년 35만명에서 2013년 55만명으로 20만명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서비스업은 같은 기간 205만명에서 358만명으로 150만명 이상 급증했다.
보고서는 노동생산성 향상 대책으로 ▲규제를 비롯한 기업경영 애로요인 제거 ▲정부의 선도적 연구개발 투자 확대 ▲서비스업 부문의 고정투자 확대 ▲정년 연장을 위한 제도적 기반 확충 등을 꼽았다.
박세준 한은 동향분석팀 과장은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노동공급 여력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노동생산성 향상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우리 경제의 성장세가 더욱 둔화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