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국내 연구진이 화석연료와 비료 등의 사용으로 발생한 질소 오염 물질이 대기를 통해 북태평양 전 해역에 유입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결과는 향후 질소 오염 물질이 심각한 해양 생태계 교란과 파괴를 야기하면 환경정책 수립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8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포항공대 이기택 환경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북태평양에서 측정된 질산염(식물성 플랑크톤의 주요 영양분) 농도 정밀조사 자료와 전대양 해역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동북아의 경제성장과 일치하는 1970년대 이후부터 질산염이 급격히 증가했으며 주요 원인이 대기를 통한 질소 오염물질의 유입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해양으로 유입된 질소 오염 물질이 연안 뿐 아니라 대양까지 빠른 시간 내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화석연료와 비료 사용으로 인해 질소 오염 물질이 대양으로 계속 유입되면 해양생태계의 토대가 되는 유·무기 물질(영양염)의 균형을 파괴, 해양 생태계 1차 생산자인 식물 플랑크톤(녹조류)의 종형성에 영향을 미쳐 생태계 교란을 일으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동북아의 인구증가와 산업화로 인해 발생한 대기 오염물질이 예상을 뛰어넘는 속도로 광범위하게 북태평양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힌 것"이라면서 "심각한 해양생태계 교란이 발생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전 지구적인 문제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가 추진하는 글로벌연구실사업과 해양수산부 사업 등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이기택 교수 연구팀과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대, 미국 하와이주립대, 미국 해양대기청,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참여했다. 연구결과는 중요성을 인정받아 2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지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