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국내 연구진이 응급 상황에서 목이나 손목 부위에 부착해 심혈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반창고 형태의 소자를 미국 연구진과 공동 개발했다.
24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방창현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교수와 제난 바오(Zhenan Bao) 미국 스탠퍼드대학 교수는 기존 고가의 삽입형 진단 장비와 달리 손목이나 목 부위에 반창고처럼 붙이는 방식으로 심혈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연구진은 미세한 힘을 감지하는 곤충의 더듬이나 음식물을 흡수하는 소장의 융털에서 볼 수 있는 미세 섬모구조를 센서용 소자에 도입해 고성능 음파측정 장비로만 잡아낼 수 있었던 미세한 생체신호를 증폭했다.
개발된 소자는 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손목 부위의 노동맥과 목 부분의 경정맥을 모니터링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특히 기존 혈압 측정기로 측정할 수 없는 미세한 목 부분의 경정맥파를 측정할 수 있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방 교수는 "소자를 경제적인 비용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제작해 위급한 심혈관 질환에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맥파, 호흡 및 활동 등 생체의 물리적인 신호를 이용하는 신개념 IT 기술, 감성 공학, 로봇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가 추진하는 기초연구사업(신진 연구)등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30일 재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지 온라인판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