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슈퍼스타K6’, 지상파도 제쳤다, 최고 6.0%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엠넷 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K 6’ 결승전이 지상파를 포함해 같은 시간대 시청률 1위를 찍었다.

22일 시청률 조사회사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전날 밤 11시부터 경희대 평화의 전당에서 생방송으로 열린 ‘슈퍼스타K 6’의 결승전 시청률은 4.8%였다. 케이블과 위성, IPTV 통합 가구 시청률 기준 평균이다. 최고 시청률은 6.0%까지 치솟았다.

김필과 곽전언이 겨룬 결승전은 역대 최고 무대로 긴장과 감동을 선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승자 곽진언도 준우승에 그친 김필도 “사상 최고의 무대를 만들겠다”는 약속을 지켜냈다.

온라인에서도 이들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슈퍼스타K6’ 페이스북(fcaebook.com/superstark)에서 공개된 결승전 무대의 풀버전 영상의 누적 조회 수가 현재까지 6000만여 건에 이른다.

결승전은 톱2가 슈퍼위크에서 함께 부른 ‘걱정 말아요 그대’의 협업 무대로 시작했다. 첫 번째 대결 무대인 자유곡에서는 김필이 마이클 잭슨의 ‘맨 인 더 미러(Man in the Mirror)’를 소화했고, 곽진언은 조용필의 ‘단발머리’를 경쾌한 스타일로 불러 따뜻한 감성을 강조했다. 심사위원은 김필 386점, 곽진언 376점을 줬다.

자작곡 미션에서 김필은 자신의 고민과 이야기를 풀어낸 ‘필스 송(Feel’s Song)’, 곽진언은 합숙 기간에 작곡한 ‘자랑’이라는 곡을 통기타 반주로 펼쳐냈다. 곽진언은 무려 세 명의 심사위원으로부터 99점을 받아 394점이라는 역대 최고의 점수를 따냈다. 김필은 381점을 받았다.

김필과 곽진언은 마지막 무대로 유재하(1962~1987)의 ‘사랑하기 때문에’의 스페셜 듀엣 무대를 선보였다. 또 이번 시즌을 빛낸 톱11 전원이 무대에 올라 이문세의 ‘이 세상 살아가다 보면’을 선사했다.

우승은 곽진언이 가져갔다. “정말 감사드린다. 앞으로 더 열심히 하겠다. 동생이 무대를 보러 왔는데… (동생아) 잘하자”

우승 상금은 음반 발매비 2억 원을 포함해 5억 원이다. 12월 3일 홍콩에서 열리는 ‘2014 MAMA’ 무대에도 오른다.

준우승자인 김필은 “너무 늦었다고 생각하고 마지막 도전이라고 생각하고 했는데 좋은 프로그램에 나와 기회 얻었다. 덕분에 앞으로 음악을 하며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을 것 같다”고 홀가분해 했다.

다른 시청률 조사회사인 TNMS에서는 케이블 가입 가구 전국 기준 시청률을 4.195%로 집계했다. 엠넷 1.513%, tvN 1.252%, KM 0.263%, XTM 0.441%, 온스타일 0.406%, 수퍼액션 0.320%다.

‘슈퍼스타 K6’ 톱3 시청률 3.297%보다 0.898% 포인트, 시즌 5 결승전 1.777%보다도 2배 이상 높은 시청률이다.

역대 ‘슈퍼스타 K’ 결승전 중 가장 높은 시청률은 시즌2에서 올린 19.379%다. 시즌 3이 11.336%, 시즌 4가 8.184%, 시즌 1이 6.757%를 올렸다.

한편, 엠넷은 12월 24~25일 연세대 대강당에서 ‘슈퍼스타K 6 톱 11’ 콘서트를 펼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