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0일 "세계경제는 서서히 회복되고 있지만 여전히 회복세가 미약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에서 열린 '한국은행-IMF 공동컨퍼런스' 개회사에서 "금융위기 기간중 심화된 개별 국가들의 구조적 불균형이 오늘날 경기 회복세를 제약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국을 포함한 다수 국가에서 대내 불균형은 여러 부문에서 잔존하거나 확대된 것으로 평가된다"며 "세계 경제의 회복이 본격화되면 대외 불균형도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이 총재는 "각국에서 경기대응 수단으로 시행중인 완화적 거시정책은 불균형 해결을 위한 궁극적 해답이 아니며 구조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구조개혁의 해법으로 ▲내수기반 확충 ▲수출기반 강화 ▲소득불균형 완화 ▲부채감축 등을 제시했다.
그는 "경상수지 흑자국은 내수기반을 확충하고 생산-고용-소득의 선순환을 구축해야 한다"며 "적자국가들은 제조업 육성을 위해 수출 기반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 총재는 "역사적 경험은 불균형의 정도가 심각할수록 지속가능한 성장이 저해되고 외부충격에도 취약해진다는 것을 말해준다"며 "위기 재발 방지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경제 불균형 완화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G20 정상회의에서 브리즈번 액션플랜으로 제시된 종합적 성장전략은 회원국들이 오랜 기간에 걸쳐 도출해 낸 결과물인 만큼 각국에서 불균형 해소를 위한 구체적 처방책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