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기자] 새정치민주연합 윤관석 의원(인천 남동을)이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로부터 제출받은 2014년 수능(2013.11.7.시행)을 치른 응시자 60만6813명의 성적을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수준별 시험으로 치러진 2014년도 수능에서 사립학교의 성적이 국어․수학․영어 등 전 영역에 걸쳐 국공립학교를 앞서고, 또 상대적으로 재수생이 강세를 나타냈고, 도시와 읍․면 지역 간 상당한 격차를 나타냈다.
2014년도 수능은 수준별 시험이 도입되어 국어,수학,영어 영역에서 쉬운 A형과 여러운 B형으로 나눠 진행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사립학교가 국어,수학,영어 전 영역에서 국공립학교보다 표준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학교와 국공립 간 점수 차이는 국어A형 4.2점, 국어B형 4.4점, 수학A형 4.8점,수학B형 5.5점, 영어A형 2.8점,영어B형 5.2점으로 어려운 B형에서 격차는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1․2등급 비율도 국어,수학,영어 영역에서 사립학교가 국공립학교보다 높은 반면 8.9등급의 비율은 사립학교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점수 평균은 읍면 지역이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낮았고 1․2등급 비율은 읍면 지역이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와 읍면지역간은 격차는 도시가 국어A 5.6점, 국어B 5.2점, 수학A 4.2점, 수학B 11.1점, 영어A 6.3점, 영어B 9.3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광주와 제주가 전 영역에 걸쳐 표준점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종은 전 영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2등급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국어A,수학A,영어A는 제주, 국어B,수학B,영어B는 서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8.9등급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국어A의 경우 대구, 국어B,수학A,수학B,영어A,영어B는 광주로 나타났다.
윤 의원은 “2014년 수능 분석결과 사립학교가 국공립고등학교 보다 수능 점수 높은 것은 자사고․특목고와 같이 학생 선발권을 통해 우수한 학생을 우선 배정하여 결국 학교 간 학력 편차로 나타나 대입으로 까지 유지되고 있다”며 “자사고 등 학력편차를 유발해 결국 공교육의 황폐화로 이어지는 고리를 끊기 위해 자사고 부작용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