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 김재원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28일 세월호 침몰사고 희생자인 고(故) 김유민양의 아버지 김영오씨의 단식 중단에 대해 “여야 합의, 더 나아가 유가족의 (의견을) 충실히 반영하는 세월호 특별법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라며 환영했다.
김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저희도 사실 얼마나 노심초사 했겠느냐. 국민의 한 사람이 정치권에서 해결하지 못한 문제로 생명을 걸고 단식을 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서 책임감을 느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전날 세월호 유가족들과 2차 면담에 대해선 “본질적인 문제를 이야기하면서 서로 주장을 풀어놓은 측면이 있어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면서도“유가족과 집권여당 간의 불신이 크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오해의 문제가 상당했고, 불신을 낮추는데 큰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여야 간에 불신만 없다면 금방 해결될 것”이라며 “여야 뿐만 아니라 유가족간의 불신이 큰 문제인데 이를 낮춰가는 과정이라고 본다면 큰 진전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앞서 전날 새누리당 원내지도부와 세월호 참사 희생자·실종자·생존자 가족대책위원회 대표단은 2차 면담에서 진상조사위원회 수사권과 기소권을 부여하는 문제를 놓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채 다음달 1일 다시 회동키로 했다.
김 원내수석부대표는“유가족들은 조사를 받아야 되는 사람이 국가 권력에 속한 사람일 테고, 그것을 조사하는 것은 유가족에게 편향되더라도 (수사권·기소권을 부여하는 것이) 결국 힘의 균형이 아니냐고 했다”며“저희들은 불공정한 수사기관이라는 것이기 때문에 어렵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향후 협상 타결 가능성에 대해선 “다음달 1일 만나자고 한 것 자체가 유가족분들이 충분히 협의를 해서 하겠다는 것”이라며“다음에는 좀더 진전된 모습으로 만나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만 김 원내수석부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이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에 대해선 “(문제를) 풀어야 할 것은 여당 지도부와 유가족 대표 또는 유가족 전체”라며 “대통령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끌어들여서 대통령의 사과를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형태는 정치 공세의 일환”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여당 지도부와 유가족 대표자 또는 유가족 전체의 동의를 얻어서 협의를 이룬다면 세월호 특별법 문제는 곧바로 야당이 농성을 중단하고 들어와서 동참해야 되고, 경제살리기 법률도 전부 처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