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광주은행의 민영화작업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민영화 전환 후 첫 행장에 누가 오를 지에 지역 경제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7일 광주은행과 지역 금융계에 따르면 김장학 현 행장의 임기가 12월말로 돼 있지만 JB금융지주로의 공식 편입 일정 등을 감안하면 10월 중으로 신임 행장 인선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JB금융지주가 예금보험공사에 광주은행 매매 대금을 완납하는 문제와 금융위원회 최종 승인 절차가 이르면 10월 첫째주에 이뤄질 공산이 크고 이럴 경우 광주은행 민영화도 빠르면 10월중 매듭지어질 가능성이 높은 데 따른 것이다.
특히, 금융위 승인을 받으려면 등기임원들은 사직서를 제출해야 하고, JB금융 쪽에서도 신임 등기임원 명단을 제출해야 한다. 이에 따라 추석 연휴 직후 민영화 이후 첫 행장과 임원단의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시나리오는 대략 5가지로 내부 인사냐, 전북발(發) 인사냐로 양분된다.
김한 JB금융지주 회장 겸 전북은행장이 전체 CEO를 맡는 방안을 비롯해 ▲김 회장이 광주은행을 맡고 전북은행장은 자기 사람으로 앉히는 안 ▲전북은행에서 'JB 맨'을 광주은행장으로 내려보내는 방안 ▲광주은행 출신 부행장 영입 ▲현 행장 유임 등이다.
이 중 김 회장이 전면에 나서는 안에 대해서는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높지 않고, 되레 지역 민심을 자극해 경계심만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역 금융계 관계자는 "김 회장이 한때 직접 내려오는 방안을 고민했지만 현재는 접은 것으로 안다"며 "지역 대표은행이 상대적으로 덩치가 적은 전북은행에 '먹히는 것'으로 알고 있는 지역민이 많은 마당에 연고없는 최고경영자가 장(長)에 오를 경우 민심이 크게 동요할 수도 있어 (김 회장의 광주행은)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장학 행장이 전날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를 통해 "민영화 후에도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은 '투뱅크(Two-Bank)' 체제로, 대기업이 대주주인 대구·부산·전북은행처럼 경영간섭 없이 전문 CEO에게 맡겨질 것"이라며 '금융 주권'을 강조한 점도 이같은 분위기와 궤를 같이 한다.
이에 따라 현재로서는 자행(광주은행) 출신 순혈주의 인사나 현 행장 유임이 민심을 달래고 향토은행의 상대성을 인정하는 최선의 선택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광주은행과 같이 우리은행의 자회사였던 경남은행이 5, 6대 행장으로 내부출신 행장을 잇따라 배출했고, 대구은행은 40년 동안 외부인사 행장이 단 한차례에 불과한데다 삼성이 대주주인 부산은행의 경우 자행 출신 행장이 주류를 이룬다는 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광주은행의 경우 그동안 단 한차례도 자행 출신 행장이 배출된 적이 없으며 지난해 행장 공모에서도 조억헌 부행장, 변정섭 전 부행장이 나란히 도전장을 냈으나 고배를 마셨다. 현재 거명되는 자행 출신으로는 조·변 부행장 외에 송종욱 전 부행장(현 kbc플러스 대표) 등 대략 3∼4명 정도다.
이런 가운데 현 행장이 광주일고와 전남대 출신으로 중앙 시중은행은 물론 지역 정서와 맞닿아 있는 지방은행 고위직을 두루 경험했다는 점에서 유임 가능성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광주은행 노조 관계자는 "지방은행장은 지역 민심을 읽고 해당 지역 상공인들과 네트워크를 유지해야 하는 등 특수성이 있다"며 "향토은행이 다른 지방은행에 편입되는 것 자체로도 자존심이 상한 상황인데 CEO까지 넘어가면 상실감과 반발심이 만만찮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