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유한태 기자]새정치민주연합이 25일 세월호특별법 대응과 관련, 새누리당이 '3자협의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강경투쟁 돌입을 예고했다. 이에 따라 26일부터 올해 처음 실시될 예정이었던 분리국감도 자연스럽게 무산될 가능성이 커졌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국회에서 오전 9시30분부터 4시간 동안 이어진 1차 의원총회를 갖고 이 같은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의원들이 전했다. 다만 이날 오후 예정된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와 유가족의 회동 논의를 지켜보고 다시 바로 의총을 열어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이날 의총 브리핑을 갖고 “우리의 대응자세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모색이 있었다”며 “유가족이 참여하는 3자협의체는 유가족의 동의와 사회적 공감을 얻는 방식이란 점에 인식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변인은 “당 차원의 강력한 투쟁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며 “이완구 원내대표와 유가족 대표단의 오후 회동을 지켜볼 것이고, 3자협의체 제안이 거절될 경우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분리국감 문제와 관련, “(새누리당이) 3자협의체 제안을 거절할 것이라 예단하는 것은 무리”라면서도 “국감은 지금 안 해도 예년에 10월에 했던 예가 있다. 그 문제는 (새누리당이) 3자협의체 제안을 거절할 경우 끝까지 싸운다는 말로 갈음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의총은 114명의 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27명이 발언을 이어갔다. 발언에 나선 의원들은 대부분 강경투쟁론을 펼쳤고, 특히 새정치연합 의원직 총사퇴를 주장하는 목소리까지 나왔다. 구체적인 투쟁방식은 지도부에 위임한 뒤 의총에서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투쟁 방법과 관련, “지도부 회의에서 가닥을 잡아 의총에 투쟁 방식을 밝히고 추인받겠다”며 “의원들의 투쟁 결의 수준은 높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어 “싸우는 방식은 여러 종류와 여러 단위에서 가능하다”며 “싸우는 것은 방식도 중요하지만 배치하고 잘 이끄는 것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성주 의원도 “(새누리당이) 3자협의체를 안 받으면 어떻게 할지 대응책을 주로 이야기했다”며 “국회 안팎을 따지지 않고 총력 투쟁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히 의원직 총사퇴 여부에 대해서는”한 분이 그 얘기를 했는데 (그 주장이) 생뚱맞다는 분위기는 아니었다“고 전했다.
박영선 위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여러분의 걱정과 질책을 안다. 다 제가 모자란 탓이다. 걱정을 끼쳐드려 죄송하다”고 사과한 뒤 “오늘 의총은 세월호 특별법이 제1의 민생법안임을 확인하는 의총”이라며 사실상 강경 투쟁 방침을 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3자협의체에 대해서는 이완구 원내대표와 가족 간 회동을 앞두고 있는 만큼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았고, 의원들의 발언을 묵묵히 듣고 있었다는 후문이다.
그동안 관심이 모아졌던 박 위원장의 거취 문제는 중점적으로 다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석현 부의장은 “지금 그런 문제로 분란을 일으킬 때가 아니다. 새누리당에서 (3자협의체 수용여부를) 검토하고 있다니까 지켜보고, 비대위원장직 분리는 나중에 검토하자는 분위기”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