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정부가 제조업 혁신 3.0 전략의 일환으로 생산과정을 지능화한 '스마트 공장' 보급에 박차를 가한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일 서울 플라자 호텔에서 석유화학업계 최고경영자(CEO)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제조업 혁신 3.0 전략 실행 대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6월 발표된 제조업 혁신 3.0 전략에는 ▲융합형 신제조업 창출 ▲주력산업 핵심역량 강화 ▲제조혁신기반 고도화 등 3대 전략과 IT·SW 기반 공정혁신, 융합 성장동력 창출, 제조업의 소프트파워 강화, 수요맞춤형 인력·입지 공급 등 6대 과제가 담겨있다.
정부는 융합형 신제조업 창출을 위해 오는 10월부터 생산 전 과정을 지능화·최적화한 '스마트 공장' 보급 확산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융합형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제조업과 IT가 융합된 융합형 성장동력을 발굴하기로 했다. 아울러 핵심 소재·부품, 엔지니어링·디자인·SW 등 고부가가치 부문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핵심인력 양성, 글로벌 소재·부품 기업의 국내 유치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는 제조업 혁신 3.0 실행대책과 관련해 제조업 경쟁우위 확보대책, 제조업 연구개발(R&D) 혁신역량 제고대책, 제조업 투자환경 개선대책 등을 제시할 것임을 밝혔다.
특히 업종별 협회, 경제단체, 제조혁신위원회 등 현장과 민간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 현장수요를 충분히 반영하여 속도감있게 대책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날 진행된 석유화학업게 최고경영자 간담회에서 업계 대표들은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계획(안)을 비롯한 화평법, 화관법 등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어려움을 정부측에 호소했다.
또 나프타 제조용 원유에 대한 할당관세 지속 적용과 석유화학업계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조속한 시일 내에 높은 수준(중국측 석유화학제품 관세철폐)의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체결, 투자애로 등을 해결해달라고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