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박철호 기자] '축구 도시' 명성을 되살리겠다며 지난해 경기 안양시에 둥지를 튼 시민프로축구단 FC안양이 창단 2년만에 존폐 기로에 놓였다.
운영 예산이 바닥났지만 시(市)와 메인스폰서의 지원도 한계에 달해 더는 버티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19일 시 등에 따르면 올해 FC안양에 책정된 운영 예산 47억8000여 만원이 벌써 바닥을 드러냈다.
다음 달 코칭스태프와 선수 등 40여 명의 인건비를 집행하면 남는 게 없다. 10월부터는 선수단 식사는 물론 경기 출전 버스 운영조차 못 할 정도다.
시와 메인스폰서 국민은행의 지원금, 연간 회원권 수익금 등이 있지만, 광고·후원비 등 추가 수익이 없어 이런 어려움에 처하게 됐다.
이에 따라 FC안양은 시에 올해 부족 운영비 12억여 원의 추가 지원을 요청했다. 메인스폰서인 국민은행에는 매년 계약된 금액(10억원)이 정해져 있어 더는 손을 벌릴 수 없다.
시도 예산을 추가 지원하려면 시의회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데, 올해 지원 예산 15억원을 이미 집행한 상태여서 시의회의 동의를 얻기가 쉽지만은 않다.
시의회는 여·야 모두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다. 애초 지원 기준과 다르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FC안양 출범 당시 시의회는 예산 지원과 관련한 여러 우려 속에 출범 첫해 15억원, 2년째 10억원, 3년째 10억원, 4~5년 각 5억원 등의 기준으로 5년동안 모두 45억원만 시가 지원해 주기로 했었다.
하지만 지난해 운영비가 애초 예상과 달리 27억원이나 늘어난 63억원이 들어갔고, 올해도 부족분 발생을 우려해 기준을 바꿔 2년째 지원 예산을 10억원에서 15억원으로 확대했었다.
그런데도 운영비가 또 바닥이 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메인스폰서인 국민은행이 내년 계약이 끝나 지원을 중단하지만 이를 대체할 스폰서는 더이상 나타나지 않고 있다.
시는 하지만 "FC안양을 당장 없앨 수는 없다"며 시의회를 설득하고 있다.
이와 함께 FC안양에 대한 예산을 상시 지원할 수 있게 관련 조례에서 회계연도당 15억원 이내로 예산을 지원하고 예산은 5년 동안만 한시적으로 지원한다는 내용을 뺀 개정조례안을 마련, 시의회에 처리를 요청했다.
또 올해 운영비 부족분 12억여원도 1차 추가경정예산안에 편성해 시의회로 넘겼다.
시의회 여·야 대표는 모두 "FC안양 운영 예산과 개정조례안 처리는 전체 의원 의견을 듣고 결정하겠지만 근본적인 문제점 파악과 대책 마련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지난달 말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비상대책위까지 꾸렸지만 FC안양의 자금난을 해소할 뾰족한 방안은 찾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