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중국 정부가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징진지(京津冀, 베이징·텐진·허베이의 약칭) 광역개발에 적극 나선다.
특히 시진핑 정부의 최대 역점 사업 중 하나로 대규모 인프라 투자와 산업 재배치를 실행하고 있어 우리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11일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가 발표한 '시진핑 정부의 핵심 성장전략, 징진지 광역권 발전전략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는 직할시인 베이징과 텐진, 허베이성 등을 종합 개발해 북방지역의 성장거점으로 삼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시동을 걸었다.
이 프로젝트의 골자는 철강과 중화학 등 제조업은 물론 8개의 대규모 도매 시장의 재배치, 연간 사용자 1억 명 규모의 신공항 건설, 1만㎞에 육박하는 철로와 도로의 확대 등을 통해 경제성장 시너지를 제고하는 것이다.
성급단위로 경제발전을 도모하는 중국이 3개 성급도시를 묶는 광역형 발전전략을 채택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무협은 설명했다. 이는 징진지 도시별 소득은 높지만 성과를 서로 공유하지 못해 발전 격차가 심화된 데다 베이징이 성장의 한계점에 도달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정부의 광역형 발전전략에 따라 우리 기업들은 보다 많은 비즈니스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무협은 설명했다.
허베이지역은 철강, 코크스, 석유화학 등 중공업이 밀집돼 있고, 자동차 보유량이 점차 증가해 대기오염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대기오염 관련 기술의 중국진출이 유망하며 향후 토지 정화와 쓰레기 처리 산업 등 전반적인 환경산업이 급부상할 전망이다. 중점 수혜지역인 허베이 시장에서 우리제품의 점유율이 중국 평균(9%대)의 5분의 1 수준인 2%대임을 감안하면 더욱 적극적인 공략이 필요하다고 무협은 지적했다.
최용민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 지부장은 "중국 정부는 징진지 대기오염 개선을 위해 올해에만 이미 100억 위안(약 1조6800억원)을 투입하기로 하는 등 대규모 재정지출을 통해 징진지 지역을 통합해 업그레이드 하는 작업에 착수했다"며 "우리 기업들은 징진지 우대책을 비즈니스 기회로 활용하고 정부는 대규모 공항 건설 등이 한국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검토해 진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