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재욱 기자] 세월호 참사 여파로 소상공인 10명 중 8명이 경영상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난을 극복하기 위해 경제 주체들의 소비·생산·투자 등 일상적인 경제활동 재개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5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숙박·음식업, 여행업, 운수업, 도·소매업 등을 영위하는 소상공인 400명을 대상으로 '세월호 사고 여파에 따른 소상공인 경기체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소상공인은 최근 국내 경기가 세월호 사고 이전에 비해 '악화' (88.0%)된 것으로 체감했고, 소상공인 10명 중 8명(77.8%)이 세월호 사고 여파로 경영상 타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세월호 사고 여파에 따른 경영상의 타격으로 소상공인 업체 10개 중 8개 업체가 매출이 감소했다. 감소폭은 지난해 4~5월 대비 33.4%, 세월호 사고 이전 대비 37.1%인 것으로 조사됐다.
소상공인은 매출액 감소로 '차입금 등 부채증가'(27.8%), '세금 및 각종 공과금 체납'(23.4%), '임대료 등 각종 대금 납부 지연'(21.8%), '사장월급 반납'(21.2%), '은행 등 대출상환 지연'(19.0%) 등의 피해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상공인의 44.8%가 세월호 사고 여파로 이미 체결된 계약(예약)이 연기·취소되는 경험을 했고, 여행사 등 사업지원 서비스 업종의 경우 81.4%가 경험한 것으로 파악됐다.
소상공인의 63.8%는 세월호 사고 여파에 따른 경기침체가 2~6개월 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고, 7개월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는 소상공인도 적지 않은 것(31.2%)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은 이러한 경기침체 속 매출부진 등 경영악화를 극복하기 위해 '비용절감 등 자린고비 경영'(65.5%), '가격할인'(12.7%) 등의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세월호 사고 여파에 따른 경영난을 조기 극복하기 위해 '경제주체들(가계, 정부, 기업)의 소비·생산·투자 등 일상적인 경제활동 재개'(48.3%), '피해 관련 업종 소상공인에 대한 납세유예, 자금 지원 강화'(30.0%), '내수활성화를 위한 정부재정 조기집행'(27.0%) 등의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해철 중기중앙회 정책개발1본부장은 "조속한 사고 수습과 경제활력 회복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