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재욱 기자] SK이노베이션이 미국 현지 석유 생산광구 운영권을 확보해 석유개발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생산광구를 직접 운영하게 된 것은 1983년 해외 자원개발 사업을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달 휴스턴에 설립한 석유개발 사업 전담 자회사 'SK E&P America'를 통해 미국 석유개발회사 플리머스(Plymouth)사와 케이에이 헨리(KA Henry)사가 보유해 온 미국 내 석유 생산광구 2곳의 지분을 전량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인수 지분은 오클라호마 소재 그랜트·가필드 카운티(Grant·Garfield County) 생산광구의 지분 75%와 텍사스 소재 크레인 카운티(Crane County) 생산광구의 지분 50%다.
SK이노베이션이 두 생산광구의 지분 매입에 투입한 자금은 총 3871억원이다.
2011년부터 개발된 그랜트·가필드 카운티 생산광구는 현재 하루 2500 배럴, 2012년부터 개발된 크레인 카운티 생산광구는 하루 750 배럴의 원유를 각각 생산 중이다. 양 광구는 개발된지 3년 밖에 안됐다는 점에서 추가 시추를 통해 생산량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K이노베이션은 두 광구를 인수함에 따라 1일 원유 생산량이 현재 약 7만1000 배럴에서 약 7만4250 배럴로 늘어나게 됐다. 또 전 세계 15개국에서 7개 생산광구, 15개 탐사광구 등 총 22개 광구와 4개 액화천연가스(LNG)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국내 최대 민간 석유개발기업으로서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게 됐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생산광구를 직접 운영하게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세계 3위 산유국인 미국의 최신 석유개발 기술과 노하우를 습득해 석유개발사업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유공 시절인 1997년 텍사스와 루이지애나의 5개 생산광구에 지분을 투자한 적이 있으나, 운영권을 확보하진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