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재욱 기자] 세계 3대 해운사(덴마크 머스크·스위스 MSC·프랑스 CMA-CGM)가 동맹을 맺은 'P3'의 출범으로 부산항이 잔뜩 긴장하고 있다.
P3는 1만8000TEU급, 1만6000TEU급 등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세계 1·2·3위 해운사다. 전 세계 컨테이너 선복량(船腹量)의 약 36.3%, 아시아-유럽 노선의 약 44%를 점유하고 있다.
이들의 동맹은 아시아-유럽, 대서양, 태평양 노선을 3사가 공동으로 운행하는 게 목적이다.
이 때문에 환적 화물 비율이 50%에 달하는 부산항으로서는 P3와 같은 글로벌 선사 동맹의 출범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될 가능성이 크다.
해양수산부는 최근 P3 출범에 따른 부산항 기능 약화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선사·부두운영사 부산지역 해운업계·학계 등이 참여하는 '부산항 네트워크'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고 1일 밝혔다.
부산항 네트워크는 오는 2일 오전 10시 부산항만공사 회의실에서 발족식을 갖기로 했다.
이에 따라 해수부가 P3의 정식 출범을 기다리기에 앞서 부산항에 미칠 영향을 사전 검토하고, 관계 기관의 대응 방안을 마련키 위해 부산항 네트워크를 출범시키게 된 것이다.
앞으로 P3와 같은 글로벌 선사 동맹에 대처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하역시장 안정화 등 부산항의 주요 현안을 논의하는 소통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해수부에 따르면 그동안 P3가 미칠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는 했지만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나지 않아 논의에 어려움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달 20일 미국 연방해사위원회(FMC)의 출범 승인으로 P3 운영이 가시화됨에 따라 본격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이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됐다.
해수부 관계자는 "앞으로 해수부와 부산시, 항만공사, 선사 및 부두 운영사 등의 협력을 통해 부산항의 역할을 강화해 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