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재욱 기자]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28일 "국민행복기금에 이어 '서민금융총괄기구'를 박근혜 정부의 대표적 서민금융 브랜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신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 열린 '국민행복기금 출범 1주년 기념식'에 참석, "서민금융총괄기구가 고용복지와 서민금융 연계지원을 위한 전초기지 역할을 담당하도록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를 위해 관계기관, 민간 전문가 등과 협의해 상반기 중 구체적 설립 계획과 비전을 마련하고, 올해 안에 관련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서민금융총괄기구를 통해 종합적·체계적인 금융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서민금융총괄기구는 앞으로 고용·복지와 서민 금융을 연계지원하는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민간금융회사와 서민금융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는 "서민총괄기구가 정책상품 중개 뿐 아니라 상호금융, 저축은행, 신협 등 모든 금융사의 대출상품 중 가장 적절한 상품으로 공적으로 상담, 소개하는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며 "서민들의 이자부담이 줄고, 서민금융회사들 역시 새 고객을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 위원장은 "자금 수요자인 서민들에게는 여전히 금융회사의 문턱이 높고, 서민들이 빌릴 수 있는 10%대 중금리 상품이 사실상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금융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결국 사회의 양극화로 고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미소금융, 햇살론 등과 함께 국민행복기금의 성공은 의미가 크다"면서도 "이제는 그간의 성과에 대한 냉철한 평가를 토대로 서민금융지원 패러다임을 보다 근본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위원장은 현행 서민금융 지원 정책에 대해 ▲중복지원·지원 사각지대 발생 ▲고용·복지 연계지원 미흡 ▲민간 금융사와의 협업 부족 등을 문제로 꼽은 후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 9월 서민금융 지원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했고, 올해부터 이를 구체화해 본격 실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병원 국민행복기금 이사장은 ""국민행복기금 운영을 통해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채무경감 지원이 불가피하다는 점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어느 정도 형성했다"며 "아쉬운 점은 당초 지원하기로 했던 한국장학재단 보유 학자금대출 채무조정이 한국장학재단법 개정 지연으로 아직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신속한 법 개정이 이뤄져 하루라도 빨리 청년 대학생들이 채무불이행의 고통에서 벗어나 학업이나 취업에 전념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신제윤 위원장은 이날 행사를 마친 후 최수현 금융감독원장, 박병원 국민행복기금 이사장, 홍영만 한국자산관리공사장, 이종휘 신용회복위원회 위원장, 윤창현 한국금융연구원장 등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 로 고용·복지와 서민금융을 연계 지원하는 '남양주 서민금융지원종합센터'를 방문, 현장을 점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