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재욱 기자] "청년층 고용문제는 청년 전체를 하나로 놓고 접근하기보다는 연령·대상별로 구분해 차별화된 방식으로 풀어야 한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21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관에서 '청년 고용, 현실과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을 주제로 '청년고용 활성화 방안 세미나'를 연다.
고용부와 고용정보원이 청년층 취업실태와 의식구조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청년 고용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을 논의한다.
신종각 고용정보원 고용조사분석센터장은 고용부와 고용정보원이 2월17일~3월7일 15~33세 청년층 취업자와 구직자 등 3000명을 대상으로 한 '청년층 취업 실태 및 의식 조사' 결과를 공개한다.
실업자와 취업준비생 1000명 중 18.5%가 '국내 민간 중소기업'에 취직하고 싶다고 답했다. 대기업 18.4%, 정부기관이 14.3%로 뒤를 이었다.
청년 구직자에게 탄탄한 중소기업에 대한 정보만 제대로 알려주면 구인정보가 부족해 취업을 못하는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고용정보원의 분석이다.
신종각 센터장은 "고졸 이하 저학력 비경제활동인구, 전문대졸 남성, 대졸 여성 등 취업 취약계층이 많은 20~24세 청년층을 청년고용 정책의 핵심 대상으로 삼아 선취업·후진학 정책 강화, 중소기업 취업 여건 개선 등 노동시장에 먼저 진입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지적한다.
최강식 연세대 교수(경제학)와 이승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청년 취업취약계층의 실태와 취업지원을 위한 방향 제언'을 통해 "청년 노동시장에서 20대 초반 남녀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적극적으로 노동시장 정책 대상으로 끌어들여야 한다"고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