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기자]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통합신당을 창당하기로 했다고 하지만 6월 지방선거 공천 룰을 놓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지방선거의 승리라는 공감대를 갖고 있지만 서로의 입장 차이가 분명하다.
양측 신당추진단은 10일 각 분과 위원장 인선을 마무리한 데 이어 11일 중 분과별로 회의를 열어 통합 실무작업에 본격 착수한다.
이에 당헌당규분과에서 지방선거 공천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일단 민주당은 당원 숫자 등 조직 규모에서 비교도 안 되는 새정치연합을 배려해 ‘당원 50% + 일반시민 50%’ 투표 방식의 기존 경선 규정을 고집하지 않고, 합리적인 대안을 만들겠다는 신축적인 입장이다.
새정치연합은 아직 경선방식에 관한 의견을 공개적으로 내놓고 있지 않지만 배심원을 활용한 공론조사 방식에 무게를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론조사란 객관적인 기준으로 배심원을 골라 토론 등을 통해 충분한 사전정보를 제공한 뒤 투표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민주당의 입장에서는 당원을 완전히 배제한 경선 방식에 대해서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경기지사에 도전한 김진표 의원은 “기본적으로 당원의 의사는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면서 선관위에 경선 관리를 위탁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통합에만 신경을 쓰다가 경쟁력이 떨어지는 후보가 뽑힐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