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23일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지난 대선은 불공정했으며 최대 수혜자는 박근혜 대통령이라고 지목하면서 국가권력기관의 대선 개입 논란은 이제 정치권 전체로 확전됐다.
새누리당은 서둘러 ‘대선불복’이라며 즉각 반격에 나섰고, 민주당 역시 ‘대선불공정’ 프레임을 부각시키는 분위기다.
대선 당사자인 문 의원이 ‘대선불공정’을 들고 나오면서 이제 단순히 여야 간의 싸움의 문제가 아니라 대선 당사자의 싸움이 됐다.
이는 정치권 전체에 불을 지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문 의원은 그동안 대선 문제에 대해 침묵했다. 발언 하나만 해도 그것은 정치권 전체 영향을 미치는 발언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날은 작심한 듯 박 대통령에 대해 비판하고 나선 것이다. 이는 여야의 단순한 대결이 아닌 ‘대선불복’과 ‘대선불공정’ 프레임의 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자칫하면 역풍을 맞을 수도 있는 위험한 도박이지만 검찰의 수사 결과 국가권력기관이 조직적으로 대선 개입 했다고 확신을 했기 때문에 문 의원이 나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선불복’과 ‘대선불공정’ 프레임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진다. 문제는 국가권력기관의 대선 개입 사건에 대해 제3자의 입장에서 관망하는 중도층을 누가 잡느냐 여부이다.
새누리당이 ‘대선불복’을 꺼내들고, 민주당이 ‘대선불공정’을 꺼내든 것도 이런 이유이다. 긔고 그 바로미터는 바로 10월 재보선 화성갑 보궐선거가 될 가능성이 높다.
화성갑 지역이 비록 여당 성향이 강한 지역이지만 지역 이슈가 아닌 중앙정치권 이슈가 강타를 하게 된다면 이에 따른 선거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진다.즉, ‘대선불복’과 ‘대선불공정’을 놓고 중도층이 과연 어떤 것을 선택했을 것인지 여부는 바로 화성갑 지역구 보궐선거에서 판가름 난다고 할 수 있다.